본문 바로가기

연구 및 관점599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건강의 허와 실 : 요약 및 발표영상, 자료집 # 본고는 오마이뉴스 기사로 송고한 내용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삶과 건강은 나빠졌을까?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건강의 현상과 대안' 포럼 www.ohmynews.com 우리나라 전체 국민의 행복 지수는 OECD기준에서 낮게 나타나고 자살률도 높은 나라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시민들의 건강은 더 악화 될 것이고 행복지수 또한 낮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삶과 건강도 모두 나빠졌을까? 2021년 5월에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공동 조사하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인해 가족관계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변화했고,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경험 또한 이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여가활동 시간은 19년 대비 다른 시간대 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학업.. 2023. 4. 9.
코로나19 이후 자원봉사활동의 역할과 방향 지난 7월9일 군산시자원봉사센터에서는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자원봉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군산시 자원봉사 희망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자원봉사의 역할과 방향」이란 주제로 주제발표와 함께 관련 현장 전문가들의 사례 안내하고 토론했다. 주제발표 원고와 발표 영상을 안내한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210624_팬데믹 이후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최종-오픈)_정건희.pdf 0.61MB 주제발표 동영상: 코로나19 이후 자원봉사의 방향 1부 사진출처. 군산시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희망포럼 개최 코로나19 이후 자원봉사활동의 역할과 방향, 시사종합신문. http://sisatotalnews.com/ 시사종합신문 인터넷신문, 정치, 경제, 사회, 교육, 스포츠, 문화, .. 2023. 4. 9.
미래대안교육 함께 길을 찾다 : '청소년에게 맞춤형 교육기회를' '교육부'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주관하여 "청소년에게 맞춤형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주제로 대안교육 포럼이 열렸습니다. 청소년자치연구소(사.들꽃청소년세상)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 사례가 주제 발표의 한섹션으로 발표했습니다. 그 원고를 첨부합니다. 210808_(최종수정_제출본_블로그 공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성장 과정_정건희.pdf 0.33MB 저희가 강조하는 지점은 학교, 교실이라는 공간을 확장하여 지역사회 중심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사례와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과연 청소년들에게 교육이란 무엇인지? 그 본질의 가치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고 있는 달그락댤그락의 사례와 함께 미래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했습니다. 관련해서 원고는 실지 않았지만 포럼 .. 2023. 4. 9.
파주시 청소년재단 중간 관리자 강의/ 연수 : 자료집 첨부 사람과 어떠한 연유에서 만나는 관계에도 진정성을 갖게 되면 기분이 좋아진다. 강의도 마찬가지다. 오후에 만난 청소년재단의 중간관리자 분들과의 만남이 그랬다. 4시간 강의 내내 서로간 진정성 가지고 깊이 있게 이야기 나누려고 했다. 심지어 도강하신다면서 모기관 관장님도 함께 하셨고 후원자까지 되어 주셨다. 이후에 샘들에게 문자도 오고 꽤 깊게 소통했다. 강의 마치고 바로 마을방송이 있어서 조금 경황은 없었지만 오늘 강의는 너무 좋았다. 박준규 대표님 말씀 하시면서 청소년기관의 허리역할을 하는 분들이라고 하셨다. 맞다. 이 분들 기관의 허리다. 중간에서 상당히 많은 하중을 받치고 있는 분들. 연수 내용이 실질적이어야 했다. 그래서 '코로나19이후 청소년활동 현장 직면과 참여', 그리고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2023. 4. 9.
미래 청소년 정책의 새로운 구상: 영상 및 자료집 내년도 대선이 있습니다. 청소년정책개발을 위해 청소년 관련학회를 포함한 학계의 구성원들과 청소년 현장의 실무자들이 연대하여 수개월간 논의 끝에 개발한 청소년정책을 안내하는 포럼이 열립니다. 관심 가져 주시고 함께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온라인 방송도 진행됩니다. 저는 청소년 시민권리 강화 방안에 대한 내용을 주제발표합니다. 시민권리 영역은 저와 순천향대 김민 교수님, 명지전 오승근 교수님이 함께 했습니다. 11월 5일(금) 발표 영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유튜브 바로가기(녹화영상 바로보기) : https://youtu.be/cVKjsnz9KeY ▸원고 자료집 아래 다운 미래 청소년 정책의 새로운 구상(청소년 정책 포럼).pdf 4.34MB □ 주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대 청소년관련학회(미래를.. 2023. 4. 9.
청소년 참여의 방법: 청소년 정책 제안 “아는 만큼 보인다.” “행동하라, 행동하라. 또 행동하라” 포럼 이후에도 가슴이 계속 뛴다. 참여 청소년들과 선생님들이 ‘해’ 보자는 의지가 커 보인다. 줌으로 얼굴 보면서 무언가 더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와 제안하고 논의하면서 나타나는 그 흥분과 감동은 아는 사람만 안다. 어떨 때는 오프라인의 모임보다도 온라인에서의 활동에 준비가 잘 되었을 때 다수의 청소년들이 더욱 더 참여수준이 높아짐을 안다. 오늘 포럼 마친 후 다 함께 정리한 키워는 두 가지였다. “알아야 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 충북의 청소년들과 선생님들이 모여서 청소년정책 제안을 위한 100인 포럼이 열렸다. 기조강연하면서 전체 활동을 안내 했다. 본 참여 활동 코디네이팅 하면서 함께 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성장과 청소년들의 깊은 제안 내.. 2023. 4. 9.
전라북도청소년활동 활성화 정책 포럼 : 방송영상, 자료집 등 전라북도 청소년활동 활성화 정책포럼에서 방송대 김진호 교수님이 지역 실태 조사한 내용에 기반 해서 ‘청소년활동’에 대한 정책제안 중심으로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고민이 있어서 질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문의 답변자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나를 포함한 우리 모두에게 하는 말이라고 여기면 좋겠다. 이전에 전북도내 실태 연구를 다양한 주제로 몇 년간 꾸준히 했었는데 그 때 결과에 비추어 보면 나아진 게 없고 오히려 퇴보한 내용이 크게 보였다. 첫째, 청소년(체험)활동 참여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청소년이 ‘필요 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인데, 누구의 책임인가? 둘째, 코로나 발생 이후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 정보를 얻는 곳이 ‘학교, 선생님’이 반절정도이고 정보를 얻은 적 없다가 그 다음, 소수 인터넷.. 2023. 4. 9.
충청북도 청소년활동 정책 포럼 : 방송영상 및 자료집 11시 다 되어 전화 왔다. 오 팀장님이랑 샘들 기분 좋은가 보다. 나도 기분 좋다. 톡방 보니 사진도 보내왔다. 거니~(이사진) 그래서 내가 답 톡 보냈다. “그런 거니~~ㅋ” 청주에 좋아하는 후배들 몽땅 모여 뒤풀이 중. 저녁에 사무실 일 없었으면 나도 있었을 터, 조만간 군산에서 1박하면서 이후 일정 논의하기로 했다. 오늘 오후 잠시 청주에 다녀왔다. 청소년정책 제안 포럼에 좌장을 맡았다. 10개월 가까이 충북에 청소년지도사 선생님들과 정책협의회 함께 했다. 청소년활동론 책으로 강의하면서 함께 공부했고, 그 단원마다 고민들 꺼내서 이야기 나누었다. 단원 중심으로 관련 제안들 찾고 모았다. 정책으로 만들 수 있는 내용들 제안하고 토론이 이어졌다. # 청소년활동론 교재 청소년활동론 (지역사회 청소년운동..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