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그락달그락193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식, 세월호 기억되고 기억해야 하는 이유 세월호 참사 10주기다. 그제 토요일 지역에서는 10주기 기억식을 했다. 5개월, 6개월만인지? 모르겠다. 몇 개월 만에 술을 마셨다. 청하 한 병. 토요일 오후에 에 참여했다. 세월호 기억식에 지역 연대기관으로 ‘달그락 청소년자치기구 연합회’가 함께 했다. 연대 행사에 달그락 청소년들은 ‘천 개의 바람이 되어’ 합창도 했고, 세월호 10주기를 맞아 ‘선언문’도 발표했다. 2015년 달그락이 만들어진 후 매년 세월호 추모와 기억식 행사를 만들기도 하고, 목포에 유가족분들 찾아가서 슬픔도 나누었고, 안산에 청소년들과 활동도 함께 해 왔다. 지역사회에 연대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세월호 추모와 기억식은 4월이면 진행하는 중요한 활동이 되었다. 지난해에 이어 이번 해에도 지역에 세월호 기억식을 위한 연대 단.. 2024. 4. 16.
달그락 청소년기자단 10기 위촉식과 총선 후보 정책제안 협약: 이 모든 활동과 달그락이 존재하는 이유는? 10기 기자단 위촉식 및 워크숍 있었다. 와 MOU 맺은 후 10년째 활동이 이어진 것. 교육과 워크숍, 위촉식 마친 청소년은 ‘새전북신문사’로부터 정식 청소년 기자로 인정받는다. 매주 목요일이면 한 면이 청소년의 관점으로 실린 기사가 나간다. 도내 언론사와 민간 청소년기관이 연대해서 10여 년을 빠지지 않고 지역사회에 청소년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은 기적과 같은 일이다. 신문사에서 기자교육과 기사에 대한 피드백이 꾸준히 이루어졌고, 달그락에서는 청소년기자단 조직과 지역 취재와 활동이 진행된다. 돌아보니 10기다. 10년이 지난 것. 정말(?) 수많은 일이 있었다. 청소년자치권, 의회 등 여러 조례 만드는 활동과 지역에 교육, 환경, 문화 등의 문제 취재에 따른 수많은 변화 등 전국 어디에도 없는 진짜 기.. 2024. 4. 6.
현장 청소년활동에 바탕이 되어 주는 힘 사무실 들어오니 정 샘이 답 메일 많이 왔다면서 전달해 줬다. 그제 잡지 판매 때문에 후원자분들을 포함해서 웹메일 보내는 모든 분에게 편지 썼다. 잡지는 약정하신 분들까지 하면 펀딩 금액은 거의 채워질 것 같다. 다른 때와 다르게 답장이 많이 왔다. 웹메일 제목에 내 이름을 써서인가? 건희(?)가 갑자기 유명해지긴 했다. 그중 20여 년 전에 여고생이었던 친구에게 편지가 왔다. “찾아볼 메일이 있어서 정말 오랜만에 로그인했는데 받은 메일함 첫 줄에 정건희 교장 선생님 성함이 보여서 얼마나 놀랐고 반가웠는지 모릅니다^^”라는 한 줄에 심쿵했다. 2005년도이니 거의 20년 전에 여고생이었던 친구다. 고등학생 때 와이와 밴드 활동이 전부였다면서 “그 순간 큰 행복이었다”라며 “내 사무실 쇼파에서 먹고 놀면서.. 2024. 4. 2.
<달그락 비전후원이사회>가 시작됐다. 가슴이 또 뛴다. 심하게.. 비전을 나눈다는 것. 길청의 김 이사님 오픈한 ‘소월’에서 달그락 비전 후원이사회 열렸다. 이제 98회만 하면 해산하는 이사회. 이번 해 달그락 10주년 기념행사, 5월에 모금 활동인 ‘기버305’ 준비까지 여러 이야기 나누었다. 핵심은 우리 안에 ‘비전’을 나누는 것. 앞으로의 또 다른 10년을 활동하면서 공동체 구성원들이 이루고 싶은 것에 관해서 대화하면서 준비하는 일이다. 달그락 내에 여러 모임이 구성되어 활발하게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달그락 시작 후 10년 만에 건물을 고민 중이다. 10주년 맞아 10년 후의 비전을 새롭게 그리기 시작했다. 꿈꾸는 일 중 공간을 확대하고 세우는 일이다. 현재 청소년자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달그락달그락’을 어떻게 확장할지 고민 중이다. 달그락 마을 방송국을 .. 2024. 3. 27.
족하고 족했다. 12시가 다 되는 시간까지 모니터를 보면서 3시간여 발표하고 토론하고, 삶의 고민을 나누는 청년들이 있다. ‘길위의청년학교’는 매주 ‘청소년활동’에 대해서 연구회 한다. 오늘은 ‘청소년 인권’에 관해서 공부하면서, ‘인간다운 삶’에 대해서 서로의 고민을 나누게 됐다. “나는 인간답게 살고 있는가?”라는 우리 안에 질문. 답은 있는가? 새벽에 일어났다. 불면증 있는 나로서 이른 아침부터 먼 곳에 있는 일은 조금 부담스럽다. 9시부터 3시간여 완주에 청소년지도자분들과 과장님을 포함 담당 공무원 대상으로 강의했다. 이전에 담당자분들 찾아오셔서 부탁한 일이 있었다. 청소년정책 참여 관련해서 지역에 모든 청소년지도자들 대상으로 역량강화 하고 ‘청소년의회’를 실제화하는 일이다. 오늘 시작했다. 참여자분들의 깊은 참.. 2024. 3. 15.
청스토리, 길위의청년학교 강의실에서 만난 사람들 가 시작되었다. 전라북도에 청소년지도자/활동가 선생님들과 매월 만나며 9월까지 함께 공부하고 연대하며 속 이야기 나눈다. 작은 인원의 소공동체를 지향한다. '전북청소년활동진흥센터'에서 주관하는 현장 중심의 학습 공동체로 지난해 이어서 진행된다. 앞으로 10기 정도 진행되면 동문회도 열자고 했다. 현장에 다양한 활동 기관단체 선생님들 만나면 설렌다. 언제나 그랬다. 첫 연구회도 열렸다. 매주 목요일 밤 9시에 시작되는 연구회. 7기 입학생인 전국 청소년 현장에 선생님들 모두가 참여했다. 전국에서 활동하는 분들이어서 매주 연구회는 줌(zoom)으로 한다. 3시간 가까운 시간 동안 발표하고 토론하고 자기 고민에 대해서도 나누었다. 12시 다 되어 마쳤다. 속 깊은 이야기에 배움이 크다. ‘청스토리’와 ‘길청’.. 2024. 3. 8.
지켜야 할 세계 강의 후 학교 선생님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청소년 삶과 지역소멸에 따른 학교 위치에 대한 고민, 마을 살이 하면서 그들이 꿈꾸는 미래를 위해서 만들어진 소모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깊이 대화했다.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 민주시민교육”이 샛별중학교의 교육목표이자 가치라면서 이를 붙잡고 실현하는 데 집중해 보려는 선생님들을 보게 되었다. 학교 교육과정에 대해 공동체 비전 실현에 대해 고민하는 선생님들 이야기 들으면서 생각이 깊어졌다. 많은 분들 만났는데 특히 교사들이 자기 학교의 비전을 명확하게 알면서 그 비전 실현을 위해서 모두가 집중해서 고민하는 모습을 보게 됐다. 신선했고 좋았다. 마을과 교육, 청소년활동에 관한 대화가 되니 더 좋았다. 심지어 작년에 개정판 낸 이론서인 책을 구입해서 가져와 사.. 2024. 2. 25.
마을 공부(연구)공동체를 꿈꾸게 해 주는 달그락 연구위원회 10년도 훨씬 전이다. 개인 연구소 운영하면서 프리랜서로 활동할 때였다. 여러 활동을 했었는데 그 중 대학과 여러 기관단체 강의와 함께 돈 때문에 연구 용역으로 하는 일이 상당히 많았다. 내가 하고 싶어서 시간 쪼개서 하던 연구보다는 인간관계와 생계를 위한 돈과 연관된 일도 있었다. 집에 재정적인 부담만 없으면 작은 공간에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 하면서 사회와 나누고 싶은 사람들을 모아서 함께 하고 싶었다. 함께 공부(연구)하며 가진 전문성이 커지면 마을에서 소소하게 교육도 하는 작은 교육공동체를 꿈꾸던 때였다. 연구자들과의 교류도 있었으나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달그락 시작하면서 여러 위원회가 조직되었다. 그중 연구위원회는 초기 대학에서 아동과 청소년을 전공하는 교수진들로 구성했었다. 전북권에 여러 대.. 2024.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