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및 관점601 어른들 말에 절대 갇히지 마 "세상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른들 말을 쫓아가지 마라!!!" "너희는 우리보다 훨씬 큰 세상을 볼 수 있어" "어른들 말에 절대 갇히지 마" "어른이 된 당신 온전히 완성됐다고 믿지 마세요."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의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 핵심은 두 가지로 보인다. 하나는 .. 2016. 1. 25. 쩍벌춤과 10대의 정치권리, 그리고 약소국 [마이리틀텔레비젼 동영상 캡처. 출처. 인터넷의 여기저기] JYP의 다국적 걸그룹 트와이스의 멤버 ‘쯔위’가 MBC에서 방송되는 마이리틀텔레비전(마리텔)이라는 방송에서 모국인 대만 국기를 흔든 것이 논란이 되고 있다. 마리텔의 본방송에서는 편집되어 나가지 않았는데 사전녹화 하면.. 2016. 1. 18. 청소년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류체계의 문제점 몇 년 전부터 정부는 ‘학벌중심사회’에서 ‘능력 중심사회’로 전환하여 국가경쟁력을 재고하는 방안의 하나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도입하기로 했다. 박근혜 정부의 말을 빌면 산업현장 적합 인적자원개발을 통하여 “능력중심사회 만들기”를 핵심 국정.. 2016. 1. 16. 홀랜드 좀 그만 돌려요 청소년진로활동 또는 진로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일단 참여 청소년들에게 홀랜드(Holland) 검사지를 돌리고 직업유형을 나누어서 관련자들과 논의하게 한다. 프로그램비가 여유가 있으면 유명강사 불러서 이야기 듣게 하고 마지막에 비전선언문 또는 자기사명서 비슷한 것을 쓰게 하고 발.. 2016. 1. 13. 살림하는 착한동네 [사진출처. Thanks Book] 박훈서 대표는 교회를 개척한 목사다. 착한동네라는 상호를 가진 카페 사장이면서 작은 도서관 관장이다. 앞으로 헬스장 사장도 하고 싶다고 했다. 직업과 진로를 명확히 설명해 주는 대목이다. 몇 몇 전문가들이 한 가지 직업을 집중해도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 2016. 1. 11. 청소년활동의 이유 청소년활동, 청소년복지, 상담 등 이 바닥 일이 프로그램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 상담사 등 관련 업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심지어 시민사회단체(NGO), 비영리 조직(NPO)에서까지 유사한 일들이 많(아진)다. 기관단체에서 진급하면 관리 운영 측면을 강조.. 2016. 1. 8. 비정규직 기간제 교사가 을중에 갑이라고? "교권 침해 사례, 최근 5년간 2만6000건이라는 수치에는 기간제 교사의 사례가 포함되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 당시 학생들을 구조하다 희생된 기간제 교사 2명에 대해 정부가 ‘현행법상 순직 인정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 교사가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전.. 2016. 1. 6. 자유학기제와 교사의 역할 곧 자유학기제가 시작된다. 중학생 수업은 한 학기를 토론과 실습 등 학생참여형으로 개선해야 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교육부에서 제작한 자유학기제 홍보동영상] 최근 자유학기제와 진로 관련 토론회와 강의에 많이 불려 다녔다. 수년간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진로활동 지원체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나름 관련 연구도 하고 지역 활동을 실제 운영해 왔었다. 청소년진로활동이 단순히 홀렌드 등 관련 검사지 몇 가지 돌리는 것이 아니고, 청소년들의 삶에 중요한 가치들에 대해 성찰하고 고민하는 시간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자기 삶의 성찰 과정은 단순한 몇 가지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기 쉽지 않고 학교라는 공간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들이 존재하는 지역사회 전체가 그들의.. 2016. 1. 4.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