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진로활동 또는 진로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일단 참여 청소년들에게 홀랜드(Holland)1 검사지를 돌리고 직업유형을 나누어서 관련자들과 논의하게 한다. 프로그램비가 여유가 있으면 유명강사 불러서 이야기 듣게 하고 마지막에 비전선언문 또는 자기사명서 비슷한 것을 쓰게 하고 발표하게 한다. 매우 전형적인 진로프로그램이다.
[홀랜드 검사지 틀]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고질적인 문제는 진로교육이라 하면 심리적성검사로 이해되고 있다는데 있다. 초등학교부터 고3 까지 얼마나 많은 진로검사지 받는지 아는가? 진로 검사지는 매년 학교에서 안내하는 것, 노동부에서 만들어 진 것뿐만 아니라 상담실에서의 홀랜드 등 각종 검사지가 넘쳐난다.
방과후아카데미나 지역아동센터 등 가정이 어려운 청소년들일수록 더욱 많은 검사지를 받게 된다. 청소년들에게 진로프로그램 한다면서 검사지 들이 데고 무슨 관련 통계를 낸다고 체크 좀 해 달라고 하면 청소년들은 “분포도를 중간으로 해 줄까요? 옆에 빼줄까요?”라고 우스갯소리를 할 정도가 됐다. 심지어 진로활동이 무엇이냐고 물으니 상당 수 청소년들이 진로검사지 측정하는 것으로 이해2하고 있었다.
학교에서 ‘진로와 직업’ 교과시간은 자습시간이 되고 있으며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체험학습은 단순 견학이나 일회성 행사 위주로 이루어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이러한 진로교육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진로코칭, 청소년진로학습 등 청소년진로와 직업 관련한 사업과 프로그램들이 범람하는 추세다. 사교육업체에서 진로코칭 운운하면 개발된 프로그램들이 넘쳐나고 있고 프랜차이즈 형태로 만들어 판매하는데, 고액을 내고 수강하면 자격증을 부여하고 여기에서 검사지 측정과 단편적인 기술 배운 강사들은 회사에서 보내준 키트나 검사지를 통해 교육하는 과정이 우후죽순 증가하고 있다.
사교육회사는 남는 장사하고, 그 하부 단위에서 상당히 돈을 많이 들여 업체의 자격을 취득한 강사들은 업체의 커리큘럼이나 키트, 검사지 등을 돈 주고 사서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강사비를 받는 이상한 순환구조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공공 청소년이나 교육, 복지 관련 기관시설에서도 진로코치, 진로코디네이터 과정을 운영하며 자격증 주고 있지만 실제 몇몇 과정에서 배운 지식들이 사교육업체보다도 못한 커리큘럼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활동들이 청소년들 진로에 얼마나 많은 효용성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진로 프로그램 상당수는 단편적인 상담기법이나 척도를 활용한 프로그램과 직업 체험적 요소를 강조하며 직업 소개를 통한 사업들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에게 최근 청소년들의 진로프로그램의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청소년진로활동이 사람답게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어떤 본질적이고 철학적인 삶에 대한 고민이 내재해 있기 보다는, 직업이나 자기 영향력을 넓혀야 한다는 등의 경쟁관계에서 힘을 기르고 자기계발에 집중하는 일에만 집중시킨다”고 강조한다. 더불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사람이라면 어떻게 관계하며 살아야 하는지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할 수 없도록 만들어 내는 구조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안이 무엇이냐고 묻겠지? 단순하다.
진로교육이나 진로활동은 상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삶에서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진로’ 아니던가? 단편적 프로그램을 통해서 인생의 진로가 바뀌었다는 청소년들이 간혹 있지만 본질은 삶 그 자체에 녹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청소년들과 만나는 기성세대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 삶에 대한 철학이나 가치들이 삶 자체에 녹아 있어야 하고 그것과 연동되어 청소년들에게 영향이 미쳐야 한다.
[달톡콘서트. 출처. 청소년자치연구소3]
진로라는 프로그램으로 제안한다면 가급적 청소년이 주체가 되고 지역주민 전체가 참여하는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운영하는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달톡콘서트4와 같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지속적인 연계 구조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청소년진로활동은 자율과 참여 중심으로 만들어 가되 지역사회 단위를 중심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전개되어 가도록 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각종 민간사회단체, 종교시설, 기관단체, 학교 등의 관련 기관에서부터 다양한 영역의 구성원 개개인이 참여하는 긴밀한 형태의 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여야 한다. 청소년진로활동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를 위해 청소년활동가(또는 교사, 청지사, 상담사 등)가 프로그램이나 내부 행정에 몰두하기보다는 유연한 사고와 사업적 형태를 가지고 청소년을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참여시키면서 지역 전체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사업들을 추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가장 만족도 높은 진로교육 활동 '동아리활동' 출처. 사교육걱정없는 세상5]
더불어 동아리활동 등 청소년들의 자치활동이다. 동아리는 공통의 목적과 관심사에 의해 형성·운영되는 작은 모둠(모임). 취미, 소질, 가치관, 문제의식 등을 공유하는 청소년들에 의해 자치적이며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청소년활동이다. 자치 조직으로서 청소년스스로 조직 운영하고, 사회성을 기를 수 있으며 여가활동은 당연하다. 기술적인 내용에 집중하기 보다는 공동체 운영에서의 참여수준을 높이는 과정이 중요한 활동이다. 진로활동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읽힌다. 단편적으로 ‘진로동아리’라고 주장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기자단, 역사, 댄스, 노래 등 다양한 동아리활동 그 자체가 진로활동의 과정으로 읽힌다.
홀랜드 등 검사지를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현재 우리 사회에 너무나 한쪽으로 치우쳐진 심리적성검사 자체가 청소년들의 진로활동의 모두인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 청소년들의 진로. 우리 사회에서 영원한 숙제로 남아 있다. 이 짧은 글에 얼마나 많은 내용이 들어갈 수 있을까마는 어찌됐든 단편적인 내 주장일 뿐. 청소년들의 진로에 대해 고민되는 일들은 넘쳐나고 또 넘쳐나기만 한다.
- 홀랜드 직업흥미유형은 미국의 심리학자인 John L. Holland가 개발하였으며, 성격 유형에 기반하여 직업 유형을 선택할 수 있게 한 심리검사 이론이다. 1973년 Holland가 ‘Making Vocational Choices’를 출판한 이래로, 지금까지 직업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어 왔고, Holland의 육각모형은 직업심리에서 거의 아이콘이 되다시피 했다. [본문으로]
- 정건희 외(2014).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진로활동 연구. 전북청소년활동진흥센터 [본문으로]
- https://www.facebook.com/youthautonomy/ [본문으로]
- ‘달톡콘서트’는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 에서 격주로 열리는 청소년진로 토크 콘서트의 약자입니다. 지역에서 개인이 지향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삶을 사시는 분들을 섭외하여 청소년들이 인터뷰하여 내용을 구상하고, 달그락달그락에 모셔서 강연을 듣고 청소년들의 질의응답 받아 동영상과 녹취를 합니다. 향후 참여자 분들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강연 내용을 온라인에 올리고 이 분들이 시간이 허락 할 때 관심 있는 청소년들을 자연스럽게 연결해 주는 진로활동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청소년자치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진로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또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http://blog.daum.net/babogh/13747195 [본문으로]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통계센터http://data.noworry.kr/218 [본문으로]
'연구 및 관점 > 청소년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 노예 양산하는 답정너 교육과 스펙 (0) | 2016.07.25 |
---|---|
돈 되는 직업이 꿈이 되는 현실 (0) | 2016.03.06 |
살림하는 착한동네 (0) | 2016.01.11 |
2015년 청소년통계 (0) | 2015.05.05 |
사람 그 자체가 목적이다. (0) | 201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