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및 관점601 모략전도와 시민조직 몇 년 전 지인이 청소년자치연구소로 후원 의향이 있는 분이라면서 기관 활동을 소개해 주면 좋겠다고 모셔왔다. 사무실에 두 분이 방문하셔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기관에 전반적인 활동을 설명 드렸다. 설명을 열심히 하면 할수록 후원하시겠다고 오신 그 분 안색이 좋지 않았다. 이 후 지인께 연락이 왔는데 운영하는 연구소와 달그락이 혹시 신천지 아니냐며 물었다고. 잠시 멍했다.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느냐고 여쭈었더니 신천지와 같은 사이비 종교가 아니면 “그렇게 열심히 그 많은 일을 할 수 없다”라고 했다. 분명히 그 사람들의 이면에 무엇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이게 무슨 말인지 내 모자란 머리로 한참을 생각했다. 요즘 코로나19 사태를 맞으면서 생각해 보니 그분이 그렇게도 생각할 수 있겠다. 연구소와 달그락은 민.. 2020. 3. 12. 학교밖 청소년과 마스크 지난 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공적 마스크 구입 절차 및 구매 한도를 발표하면서 미성년자가 마스크를 구입할 때 본인이 직접 여권을 지참하거나 학생증과 함께 주민등록등본을 제시하도록 안내했다. 운영하는 페이스북 그룹에 “학교 밖 청소년은 공적 마스크를 구입할 방법이 없는 것 아니냐”는 글이 올라왔다. 학교를 다니지 않는데 학생증이 있을 턱이 없다. 국가에서는 주민등록증과 같이 청소년증을 발급해 주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증이 있으면 공적마스크를 구입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했다. 그룹의 회원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대한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에 바로 질의했고 온라인으로 협의해 보겠다는 의견도 들었다. 중앙 부처에서 지자체에 협의하면서 내려오는 시간도 있고 해서 이 문제를 지자체의 관계자들에게 바로 안내하자는 공지.. 2020. 3. 8. 쓰레기와 공기의 차이 이전 mb때에 신종풀루로 한국에서 2009년 1년 동안만 75만명이 감염돼 263명이 사망했다. 백신이 있음에도 최악의 감염병이 되었고 수 많은 사람들이 죽어 나갔지만 대형 언론사들은 이를 비판하기 보다는 안심시키려는데 주력한 모습이 역력했다. 그 언론사들이 지금과는 완전 반대의 논조를 가지고 집중하고 있다. 당시에 비판적 언론도 있었지만 현재 거의 거품 물고 정부 비난하는 언론사들의 당시 모습은 이와는 다르게 접근했다. 나만 그렇게 보는건가? 자칭 1등 2등 언론사들이 당시 정부의 무능한 대처와 문제들을 요즘처럼 10분의1만 더 비판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의문. 이번 코로나19사태에도 언론의 문제는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언론을 ‘기레기’라고 대 놓고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 이유야 여럿 있겠지.. 2020. 3. 3. 내가 정한 가짜 선택 성공은 간단하다. 내가 정한 시간에 일어나고 내가 정한 시간에 출근하고 출근길이 설레는 사람은 성공한 사람이고, 남이 정한 시간에 일어나고 남이 정한 시간에 출근하면서 퇴근시간만 기다려지는 사람들은 성공한 사람들의 들러리일 뿐이다. 6시 넘었다. 많은 기관의 퇴근시간. 외근 나와 사무실 막 들어와서 전화 두어 통 하고 컴 열었는데 출퇴근과 관련해서 ‘성공’을 정리한 글이 눈에 띈다. 이 글 카톡의 프사에서 몇 차례 마주한 글. 구글링 해 보니 영업하시는 분들, 자기 계발하시는 분들이 자주 인용하는 글인 것 같은데 출처도 원본 찾기 어렵다. 내가 정한 일을 하면 성공한다고? 내가 정하면 설레일까? 만약..? 내가 정한 일인데 '설렘'보다는 '불안'이 크며? 남이 정한 일인데 '불안'보다는 '설렘'이 크다면.. 2020. 3. 2. 유명해지면 금값 되는 똥 자신의 응가(?)를 포장해서 판다면 많이 팔릴까? 그것도 금무게와 같이 환산해서 똑같은 가격으로 판다면? 1961년, 자신의 배설물을 30g씩 90개의 통조림 깡통에 나눠 포장한 뒤 이것을 예술품이라며, 동일한 무게의 황금 가격으로 환산하여 판매한 피에로 만조니(Piero Manzoni)라는 작가가 있었다. 지난 93년에는 이 똥 캔(사진) 하나가 7만5000달러(약 9000만원)에 팔려 최고가를 기록했고, 2002년 런던 테이트 갤러리는 이 캔 가운데 4번째 캔을 3만8000달러에 구입했다. 당시 30g의 금값은 300달러였으니 40년의 세월 동안 이 "똥"은 거의 5만배 이상을 뛰었다. 40년 지난 똥 값이 이 정도라니... 금보더 엄청 비싼 똥. 미국의 유명 예술가인 앤티 워홀(Andrew Warh.. 2020. 2. 13. 정치판이 되어야 하는 학교 [전. 18세선거권공동행동네트워크 국회 기자회견 중] 다가오는 4월15일 우리나라 18세 선거권이 최초로 이루어지는 총선일이다. 여론이 분분하다. 학교가 정치의 장으로 변질되어 문제가 많아진다고 주장한다. 아직도 이런 주장을 한다는 게 이해가지 않는다. 당연히 학교는 정치의 장이 .. 2020. 2. 9. 뭣이 중헌디 퇴근하고 현관문을 여는 순간 거실에 있는 초등학생 아이들은 후다닥 숨는다. 집에 들어 간 후 가방은 그대로 어깨에 있고 외투도 벗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들을 찾아야 한다. 집이 작아서 어디에 있는지 바로 알지만 못 본 척 한다. "울 아이들 어디 있나?" 라면서 아이들 찾는 시늉을 한다. 바로 찾으면 좋아 하지 않으니 방과 배란다. 등을 돌면서 열심히 찾는 척을 한 후에 "못 찾겠다"고 하거나 아이들 침대 안에 있으면 꼭 껴안으면서 매일의 행사를 마친다. 아이들은 즐거워한다. 매일이 새로운 모양이다. 예전에는 안 그랬다. 큰 아이 초등학교 1학년인가? 언제까지인지는 모르겠지만 출근 할 때, 퇴근 할 때 아이들에게 거실로 나오라고 했고 인사 시키고 주고받으려고 했다. 나름 예절 교육이었다. 학교와 사회에서 .. 2020. 2. 8. 그 한사람이 더욱 많아지기를 늦은 밤 TV 리모컨 누르다가 무심결에 걸려 보게 된 슈가맨이라는 프로에서 정여진, 최불암씨가 '아빠의 말씀'이라는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38년이 지나고 두 분이 다시 만나 노래하는데 가사를 곱씹다 보니 괜히 눈물이 찔끔거렸다. 오래전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도 났고 옆 방에서 잠들어.. 2020. 1. 9.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