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 및 관점601

그럼에도 청소년 자치활동을 하는 이유 크리에이터가 청소년들이 선망하는 직업으로 떠오르는 상황을 반영해서 선생님이 최근 유행하는 유튜브를 하는 동아리를 만들기로 했다. 아동, 청소년들 몇 명에게 안내하고 참여자를 모집하고 관련 전문 지식이 있는 강사를 섭외했다. 10대 열명이 모여서 강사 선생님에게 연결 해 주었고 매주 2시간씩 15회기를 하기로 하고 마지막 회기에는 그 동안 제작한 영상을 상영하기로 했다. 강사는 매주 청소년들에게 그가 만든 커리큘럼에 따라 교육했다. 기본적인 기술도 안내해 주고 사례도 보여 줬다. 청소년들은 강사가 안내해 준대로 영상을 만들었고 마지막 회기에 담당 선생님과 함께 영상을 발표했다. 교사는 영상이 잘 만들어 진 것 같아서 학교 축제에 동아리활동 발표로 영상을 상영했고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좋아해서 뿌듯해 했다. .. 2019. 11. 11.
마을의 관계와 관계없는 네트워크 “마을의 ‘관계력’은 삶의 한 부분으로 우리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으며, 네트워크가 잘 된다는 것은 우리네 삶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삶을 살아내는 과정이라는 것”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에 타 지역의 마을활동가, 공무원, 시민단체 상근자, 교사 .. 2019. 10. 28.
개인 정치성과 NGO활동의 고민 "진보 성향 시민단체 참여연대의 간부인 집행위원장이 조국 법무부 장관과 조 장관 옹호자들을 향해 "위선자"라는 비판성 글을 올렸다." 세계일보, 조선 등 관련 기사 쏟아내고 있다.(기사) 기사 관점은 간단하다. 진보성향의 참여연대도 조국 장관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 2019. 9. 30.
인증과 변화의 차이 지자체별 친화도시가 유행이다. 아동, 여성, 노인친화도시 등 인증을 경쟁적으로 받기 위해 노력하는 지역이 많다. 공무원들은 인증을 위해 컨설팅도 받고 사업도 하면서 노력을 기울인다. 인증 과정은 나름 의미가 있다. 아동친화도시를 예로 들면 아동과 청소년 예산도 폭넓게 고민해.. 2019. 9. 2.
일상을 누리는 삶 지난 주 퇴근길. 귀가하면서 아이들 놀래어 주려고 키번호 누르지 않고 문을 두드렸다. 똑똑. 안에서 “누구세요?” 그런다. 조용히 있었다. 초인종 카메라에 불이 들어 왔다. 누군지 살피려고 거실에서 카메라 켠 듯싶다. 재빨리 입을 크게 벌리고 카메라에 입을 들이 댔다. 아이들이 ‘놀.. 2019. 8. 19.
상산고와 지역교육의 인재 전라북도교육청이 상산고의 자율형 사립고 재지정 평가에서 커트라인 점수인 80넘을 넘기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일부 교원단체와 정치권에서는 전국이 모두 교육부가 제시한 커트라인 70점을 따른 가운데 전북만 유일하게 80점으로 상한선을 높인 순간부터 상산고 죽이기라는 주장을 했.. 2019. 6. 24.
진로 선택의 이유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자신이 선택한 일들로 인해 삶의 방향이 결정된다. 부모를 선택하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일들이 그렇다. 지금 이 순간도 사람들은 자신이 가진 유한한 시간의 어디쯤에서 끊임없이 선택하고 있다. 아침에 침대에서 눈을 뜨는 순간 선택의 연속이.. 2019. 6. 22.
결정 장애를 이기는 리더십 리더십은 공동의 일을 성취하려고 어떤 한 사람이 구성원들에게 지지를 얻는 영향이며 힘이다. 리더는 리더십의 발현을 위해 공동체 구성원들과 민주적 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끊임없이 결정하는 사람이다. 결정은 곧 실행이다. 리더십에 대한 설명은 간단할 수 있으나 현실 정치에서는 .. 2019.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