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44

파주시 청소년재단 중간 관리자 강의/ 연수 : 자료집 첨부 사람과 어떠한 연유에서 만나는 관계에도 진정성을 갖게 되면 기분이 좋아진다. 강의도 마찬가지다. 오후에 만난 청소년재단의 중간관리자 분들과의 만남이 그랬다. 4시간 강의 내내 서로간 진정성 가지고 깊이 있게 이야기 나누려고 했다. 심지어 도강하신다면서 모기관 관장님도 함께 하셨고 후원자까지 되어 주셨다. 이후에 샘들에게 문자도 오고 꽤 깊게 소통했다. 강의 마치고 바로 마을방송이 있어서 조금 경황은 없었지만 오늘 강의는 너무 좋았다. 박준규 대표님 말씀 하시면서 청소년기관의 허리역할을 하는 분들이라고 하셨다. 맞다. 이 분들 기관의 허리다. 중간에서 상당히 많은 하중을 받치고 있는 분들. 연수 내용이 실질적이어야 했다. 그래서 '코로나19이후 청소년활동 현장 직면과 참여', 그리고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 2023. 4. 9.
미래 청소년 정책의 새로운 구상: 영상 및 자료집 내년도 대선이 있습니다. 청소년정책개발을 위해 청소년 관련학회를 포함한 학계의 구성원들과 청소년 현장의 실무자들이 연대하여 수개월간 논의 끝에 개발한 청소년정책을 안내하는 포럼이 열립니다. 관심 가져 주시고 함께 참여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온라인 방송도 진행됩니다. 저는 청소년 시민권리 강화 방안에 대한 내용을 주제발표합니다. 시민권리 영역은 저와 순천향대 김민 교수님, 명지전 오승근 교수님이 함께 했습니다. 11월 5일(금) 발표 영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유튜브 바로가기(녹화영상 바로보기) : https://youtu.be/cVKjsnz9KeY ▸원고 자료집 아래 다운 미래 청소년 정책의 새로운 구상(청소년 정책 포럼).pdf 4.34MB □ 주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대 청소년관련학회(미래를.. 2023. 4. 9.
청소년 참여의 방법: 청소년 정책 제안 “아는 만큼 보인다.” “행동하라, 행동하라. 또 행동하라” 포럼 이후에도 가슴이 계속 뛴다. 참여 청소년들과 선생님들이 ‘해’ 보자는 의지가 커 보인다. 줌으로 얼굴 보면서 무언가 더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와 제안하고 논의하면서 나타나는 그 흥분과 감동은 아는 사람만 안다. 어떨 때는 오프라인의 모임보다도 온라인에서의 활동에 준비가 잘 되었을 때 다수의 청소년들이 더욱 더 참여수준이 높아짐을 안다. 오늘 포럼 마친 후 다 함께 정리한 키워는 두 가지였다. “알아야 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 충북의 청소년들과 선생님들이 모여서 청소년정책 제안을 위한 100인 포럼이 열렸다. 기조강연하면서 전체 활동을 안내 했다. 본 참여 활동 코디네이팅 하면서 함께 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성장과 청소년들의 깊은 제안 내.. 2023. 4. 9.
전라북도청소년활동 활성화 정책 포럼 : 방송영상, 자료집 등 전라북도 청소년활동 활성화 정책포럼에서 방송대 김진호 교수님이 지역 실태 조사한 내용에 기반 해서 ‘청소년활동’에 대한 정책제안 중심으로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고민이 있어서 질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문의 답변자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나를 포함한 우리 모두에게 하는 말이라고 여기면 좋겠다. 이전에 전북도내 실태 연구를 다양한 주제로 몇 년간 꾸준히 했었는데 그 때 결과에 비추어 보면 나아진 게 없고 오히려 퇴보한 내용이 크게 보였다. 첫째, 청소년(체험)활동 참여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청소년이 ‘필요 또는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인데, 누구의 책임인가? 둘째, 코로나 발생 이후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 정보를 얻는 곳이 ‘학교, 선생님’이 반절정도이고 정보를 얻은 적 없다가 그 다음, 소수 인터넷.. 2023. 4. 9.
충청북도 청소년활동 정책 포럼 : 방송영상 및 자료집 11시 다 되어 전화 왔다. 오 팀장님이랑 샘들 기분 좋은가 보다. 나도 기분 좋다. 톡방 보니 사진도 보내왔다. 거니~(이사진) 그래서 내가 답 톡 보냈다. “그런 거니~~ㅋ” 청주에 좋아하는 후배들 몽땅 모여 뒤풀이 중. 저녁에 사무실 일 없었으면 나도 있었을 터, 조만간 군산에서 1박하면서 이후 일정 논의하기로 했다. 오늘 오후 잠시 청주에 다녀왔다. 청소년정책 제안 포럼에 좌장을 맡았다. 10개월 가까이 충북에 청소년지도사 선생님들과 정책협의회 함께 했다. 청소년활동론 책으로 강의하면서 함께 공부했고, 그 단원마다 고민들 꺼내서 이야기 나누었다. 단원 중심으로 관련 제안들 찾고 모았다. 정책으로 만들 수 있는 내용들 제안하고 토론이 이어졌다. # 청소년활동론 교재 청소년활동론 (지역사회 청소년운동.. 2023. 4. 9.
유니세프 아동권리옴부즈퍼슨 연구 중 유니세프로부터 아동권리옴부즈퍼슨 관련한 연구를 받아 진행 중이다. 거의 마지막 단계이고 오늘 중간보고회가 있었다. 아동청소년 권리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 만났는데 대부분 아는 분들이셔서 마음 편하게 조금은 깊은 이야기 나눌 수 있었던 것 같다. 아동권리침해가 있을 때 독립적 지위를 갖고 아동의 권리를 보호하거나 구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대리인 옴부즈퍼슨. 두 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의미 있는 이야기 많았다. 현장에서 실제 옴부즈퍼슨 활동을 하는 분들 중 공무원 그룹과 위촉직으로 민간기관에서 활동하시는 분들, 그리고 옹호관으로 위촉된 변호사 등 세 그룹으로 인터뷰 했다. 박소장님은 전국 실태조사 했고 매뉴얼 그림 그렸다. 김교수님은 외국 사례 찾아 정리했다. 관련 내용을 정리하면서 고민 되는 지점이 몇 가지.. 2023. 4. 9.
군산시 청년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청년 실태조사 연구 □ 연구의 목적 지역 청년의 문제는 일자리 곧 취업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급격한 인구감소를 청년의 정주 문제와 연결 지어 설명하는 이들까지 있다. 청년들이 지역에서 떠나가지 않고 삶을 살아야 한다는 소수의 주장이 있을 뿐 현실에서 상당수의 청년들은 19세 이후 지역을 떠나려고 하며 이는 사회적 통념에서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역에서 남는 청년들의 문제는 어떠한가? 지역 격차라는 측면에서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있고 국토균형발전의 문제로서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점차 커지고 있는바 청년들의 격차도 자연스럽게 커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과연 이러한 가설은 맞는가? 청년 인구의 유입과 유출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수렴하는데, 지방자치단체.. 2023. 4. 9.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청소년·청년정책 : 2021 학연연합학술발표회 아마도 2021년 이번 해 마지막 학술 행사가 될 것 같습니다. 한국시민청소년학회와 글로벌청소년학회가 주최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청소년복지연구소가 주관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청소년청년정책에' 대한 주제입니다. 관련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자료집다운 211229_한국시민청소년학회 글로벌학회_자료집_최종본.pdf 4.27MB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청소년·청년정책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10·20 Youth Policies □ 일 시: 2021년 12월 29일(수) 18:50∼21:00 □ 공동주최 : 한국시민청소년학회, 글로벌청소년학회 □ 주최/주관 : 대구가톨릭대학교 청소년복지연구소 인사 나눔과 개회 (18:50-19:00) - 학회장 및 참가자 ○ 이용교..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