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및 관점601 팔로워와 좋아요 숫자를 늘리는 게 중요한 일이 아니다. 집중 할 일은 따로 있다. 50만명이 되었다 며칠 만에 블로그 들어갔는데 전체 방문자 수가 50만 명이 넘었다. 어떤 이들에게 많아 보이겠지만 주변에 몇 분 파워 블로거에 비하면 새 발의 피다. 하루 많게는 2, 3백, 적게는 5, 60명 등 매일 100여 명 내외 다녀가는 작은 공간이다. 티스토리 운영한 지 얼마 안 된다. 다음(daum) 블로그 썼었는데 2년 전에 카카오에서 블로그 없앤다고 해서 티스토리로 갈아탔다. 티스토리는 구글 애드센스도 장착할 수 있다면서 돈을 벌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관련 책을 찾아봤다. 책에는 조금만 노력하면 부자 될 것처럼 쓰여 있었다. 내가 잘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꾸준히 하는 일이 글 쓰는 일이니 조금만 하면 소액 정도는 계속해서 벌 수 있겠다는 상상을 했다. 후원금 조금 늘릴 수 있겠다.. 2024. 1. 9. 청소년 현장에서 비전을 품는다는 것 비전을 품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 움직인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 가는 활동이다. 삶의 모험을 떠나는 일이다.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을 향해 희망을 품고 떠나는 여행과도 같다. 지금 힘들어도 비전이 이루어진 후의 모습을 상상하며 현재를 살아낸다. 비전을 품은 삶은 무너지기 쉽지 않다. 독립운동 했던 훌륭한 선조들도 그랬을 것이고, 민주화 운동을 했던 분들도 그랬다. 뜻이 이루어진 그 이후를 그리고 상상하면서 너무나도 고통스러운 현실의 문제를 이겨냈을 것이다. 곧 비전은 방향이고 목적이며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만들어 내는 힘이 된다. 1950년대 초 뉴잉글랜드의 동쪽 해변에서 최악의 폭풍을 마주한 곳에 거대한 유조선이 두 쪽으로 갈라진다. 배가 동력이 상실되어 난파 위기다. 이들을 구하기 위해 작은.. 2024. 1. 6. 자치, 편안한 타율보다는 불편한 자율을 선택하는 이유 ‘무엇으로부터’ 독립할 것인가?, ‘무엇을’ 독립할 것인가? 자치를 위한 질문의 바탕이다. 자기 자신을 자신이 다스리는 것이 ‘자치’다. 누구나 자치하기를 바랄까? 그렇지 않다. “편안한 타율과 불편한 자율?” 중 원하는 것은 편안한 타율이 압도적으로 많은 세상이다. 교사들의 설문에도 나온 일반적인 상황이다. 타율에서 벗어난 자치는 두 가지가 핵심 가치로 떠 오른다. 하나는 나와 우리가 결정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에 대한 책임도 진다는 것. 자율적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책임이나 많은 이들이 이를 불편해한다. 결정하기 위한 힘겨움을 피하고 책임지려고 하지 않는 상황에서 자치는 요원한 과제가 된다. 이러한 자치성에 공부는 필수다. ‘읽고, 듣고’까지의 학교 공부를 넘어서서 ‘쓰고, 말하기’까지의 진짜 공부.. 2023. 12. 27. 좋은 삶을 선택하는 방법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크레이그 재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택하지 않는 쪽을 선택한다”면서 비판했다. 이 말은 틀렸다. 선택하지 않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본만큼, 아는 만큼만 선택하게 되어 있다. 책을 읽고 쓰고 말하면서 공부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스레드에 올라오는 오만가지 글을 보고 좋은 글을 선택하고 쓰레기를 거를 수 있는 선택의 역량 또한 무엇을 알아야 가능하다. 삶의 우선순위를 선택하는 것도 닮았다.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 무엇을 우선해야 하는지를 선택하는 것 또한 알아야 가능한 선택이다. 알았건 몰랐건 그 선택의 결과가 현재 나와 우리 모두의 모습일 뿐이다. 좋은 삶을 선택하고 싶다면 많이 보고 경험하며 알아야 한다. 좋은 선택을 하기 위한 가장 편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2023. 12. 25. 미래 유망직종이 모두 맞냐고? 실버스터, 다이어트 프로그램가 유망직종? 요즘 최고의 직업은 실버스터나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또는 장기이식코디네이터 등이어야 한다. 17년여 전에 향후 10년 이후에 미래 유망직종이라고 전문가들 주장한 이야기다(그림표). 현재는 어떤가? 현재 가장 유망직종은 ‘의치한약수’에 집약된다.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그다음이 서울대라는 주장. 주장이 아니다. 사실에 가깝다. 진로와 직업에 대해서 생각하면 마음이 복잡해진다. 지금도 수많은 강연장이나 전문가들이 미래의 유망직종이라고 자녀들 모두 그곳에 보내야 한다고 침을 튀기며 주장한다. 일면 타당한 면이 있기도 하나 긴 시간 지켜보면서 통계적으로도 틀린 경우 많았다. 부천에서 청소년 두 명과 선생님 한 분이 진로 여행한다고 오늘 군산까지 찾아왔다. 지난달 청소년에게 메일 한 통을 받았다. .. 2023. 12. 20. [퍼옴] 청소년지도자들의 성장 이야기 <청스토리> 전북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청스토리 사업 담당자인 강다연 선생님이 센터에 안내한 청스토리 소개글. 좋았다. 이번 해 매달 청소년지도자들 연수했다. 장소는 참여자 분들이 활동하는 기관에서 진행을 했다. 이번 해 개정판 내 책을 중심으로 강의 했다. 현장에 활동과 사례, 본질가치와 자기 삶에 대해서 돌아 보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자 분들의 호응이 커서 내년도에도 이어서 진행하기로 했다. 수원으로 이사간 선생님까지 청스토리 일정에 맞추어 내려올 정도. 좋았다. 그 세부 내용은 아래 링크 확인하시길. 청소년지도자들의 성장 이야기 '청스토리' Change is the end result of all true learning 안녕하세요! 청소년지도자 기자단 '하루'입니... blog.naver.com 2023. 12. 16. 청소년지도자의 역량과 가치 : 해(?)보려고 하니.. 됐다!! 국회왔다. 한국학교밖지원협의회가 만들어지고 제1회 학교밖 청소년지도자대회가 국회에서 열렸고 강사로 초대받은 것. 여야 의원들도 참여했다. 강연 전 커피 마시는데 이전에 특별회의 활동했던 청소년이 찾아왔다. 너무 반가웠다. 이 친구 대학 졸업하고 서용교 의원실에서 일한다고 했다. 법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고. 1시간여 강연하는데 좋았다. 오늘 강연 제목이 책 제목과 같다. 협의회에서 참여자분들께 책을 구입해서 선물해 주셨다. 전국에서 국회에 모인 선생님들. 학교밖청소년들의 권리와 선생님들의 권익을 위한 활동을 진심 응원한다. 청소년활동 예산은 크게 삭감 되었는데 학교밖 청소년지원 예산은 소폭 오른 모양이다. 문제는 현장 선생님들의 충원이나 지원 없이 사업만 많아진 것. 김재희 협회장님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 2023. 12. 16. 청소년자치활동의 이해 및 현장 참여방법론: 교사 연수 가슴 따뜻하고 기분 좋은 토요일. 달그락에서 광주에 초중등 선생님들 연수했다. 광주교육청에서 요청한 강의 주제는 이다. 강의와 함께 실제 교실에서도 가능한 실제 참여 방법론 가지고 진행했다. 교육자치, 청소년자치, 학생자치, 교사자치, 학부모 자치까지 ‘자치’라는 단어 하나에 함의된 여러 가치와 철학이 녹아 있다. 담론이 강한 이론가들도 있지만, 오늘 만난 학교 교사들은 자신이 속한 공간에서 실천적인 교육과 활동을 이루어내야 하는 사람들이다. 나도 마찬가지다. 지역사회라는 현장에서 청소년, 청년, 지역에 이웃들과 함께 삶으로서 살아가면서 실천해야 하는 활동가의 위치가 강하다. 교육자치는 “지역의 현장 구성원들이 교육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제도?)”이다. 지역사회 전체가 참여.. 2023. 12. 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