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 및 관점600

차강석 당신이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엄을 반대 하고 탄핵을 찬성하는 것입니다. "좌파를 옹호하면 깨시민, 대배우가 되고 우파를 옹호하면 역사를 모르는 머저리가 되는 거냐.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차강석의 말이다.비상계엄 옹호 발언으로 물의를 빚어 해고된 뮤지컬 배우로 탄핵 반대를 위한 태극기(?) 집회에 나가서 "저쪽에 분명히 간첩이 있다고 생각한다" 고 열변을 토했다.저쪽이라하면 탄핵 찬성한 8, 90프로의 국민을 뜻하는 걸까?나는 배우나 가수들이 정치적 소신을 떳떳하게 밝히고 살았으면 좋겠다. 그런 사회 환경이 더 확대되어 누구나 자기 정치소신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평화적으로 토론하면서 관계하는 사회를 꿈꾼다. 연예인도 시민으로서 자신의 정치철학과 소신을 밝히고 선거 운동도 하면 좋겠다. 그러한 정치적 소신과 활동이 밥 먹고 사는 일에 지장 받지 않고, 자기 전문성에 따라.. 2024. 12. 17.
청소년 당신은 누구입니까?, 안성 강의 후.. 멋진 분들 안성에서 아동, 청소년과 관계하는 청지사, 상담사, 복지사 님들 만났다. 지역에서 청소년 위해서 고군분투하는 분들. 양평에서 이 관장님과 선생님도 오셨고 어떤 분은 월차 내고 강의 들으러 오셨다. 이전 대학에서 만났던 학생이 청지사 되어 왔고, 서울에 러빙헨즈 박 대표님도 오셨다. 길위의청년학교 4기 손 선생님은 안성에서 두 명만 있는 교육복지사 중 한 분으로 청소년을 위한 지역 변화를 위해 역동적으로 활동하고 계셨고, 허 관장님 또한 철학을 가지고 활동하면서 지역과 연대하려는 노력이 커 보였다. 이번 강의에 나를 초대한 이유 중 하나가 ‘네트워크’라고 하셨다.   이번 해 마지막 외부 강의 일정이다. 이전 약속된 일정이었다. 지난주 10주년 행사 마치고 바로 다음 날 다녀왔다. 우리가 행하는 청소년활동.. 2024. 12. 16.
어른이란 누구일까? 나이 먹은 사람을 ‘어른’이라고 하는 줄 알았다. 다 자란 사람으로 자기 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이 ‘어른’이라고 사전에 쓰여 있지만 이상하게도 우리 지역, 사회에 어른이 없다는 이들이 많다.  “동짓날 기나긴 밤 한 허리 베어내어 춘풍 이불 밑에 서리서리 넣었다가 얼운님 오신 날 밤 굽이굽이 펴리라.” 황진이의 시조다.  어른은 시조에 보이듯이 ‘얼운님’에서 온 단어다. 우리에게 어른은 나이 먹은 사람이 아니었다. '어른'은 ‘얼우다’라는 동사에 접미사 ㄴ이 결합된 용어다. 그러니까 ‘얼운’이 변형된 것으로 남녀가 몸을 합한다는 뜻이다. 결혼한 사람이 어른이 되어 상투를 튼다는 말이겠다. 몸과 마음이 성숙해서 남녀가 사랑을 하고 책임을 다하는 사람이 과거에는 어른이었다. 그런데 왜 어른이 없을까?.. 2024. 12. 2.
한강 작가를 비난하는 근거가 뭘까?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이후 수많은 글과 영상이 쏟아져 나온다. 대부분이 축하하고 그의 문학세계를 돌아보면서 기뻐했으나 소수이기는 하나 역시나 비판하는 이들도 있다. 대부분이 이념의 잣대로 재단하는 이들이다.  그중 김규나 작가의 글은 압권이다. 우리나라 일등신문(?)에 꾸준히 글을 실을 정도의 경력과 권위(?)를 인정받는 작가인 모양이다. 그 비판의 근거는 단순했다. 상을 탄 이유가 "죄다 역사 왜곡"이라며 역사적 거짓말이라는 것.  아직도 5.18과 4.3 등 우리 사회 아픈 역사를 빨갱이 폭도 정도의 사건으로 몰고 있는 이들이 주류의 한 쪽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글 읽는 내내 답답했다. 댓글을 보니 더 가관이다. 그냥 빨갱이 물러가라는 말이 다수이고, 김대통령 수상한 노벨평화상까.. 2024. 10. 12.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폭력에 반대하는 것!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내 가슴이 설레일 정도이니 관계자들은 얼마나 좋을까? 몇 달전 경기도교육청은 문제 있는 도서라며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도서관에서 폐기했다. 이상문학상을 받은 최진영의 '구의 증명', 노벨문학상을 받은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 등의 문학작품을 모두 학교 도서관에서 폐기해 버렸다. 그 뿐인가? 2013년 독일 올해의 과학도서상을 받은 성교육 책 '사춘기 내 몸 사용 설명서'와 영국 교육전문지에서 올해의 지식상을 받은 '10대들을 위한 성교육' 등도 모두 폐기했다. 성과 관련한 민원 때문이라는 게 그들의 주장이다. 기가 막혀서 말이 안 나오지만 대한민국 현실이다. 힘을 가진 자들에 의해 지배 당하는 이들(청소년?)이 진짜로 필요(needs)한 것들을 거세 당하는.. 2024. 10. 12.
나는 내 필요를 알고 있을까?, 원하는 일과 필요로 하는 일 오늘 밤 줌(zoom)으로 회의하는 중 한 분이 걸어 오면서 참여했다. 근황 토크 하다가 알았다. 오늘 교통사고가 났고 잘 처리가 되어서 지금 기분이 좋다시며 이동하는 중이라고 하셨다. 좋은 소식이라고 나온 이야기였다. 그렇구나. 작은 사고지만 놀라셨을 텐데 그 순간을 감사하게 여기는 분. 갑자기 생각이 많아졌다. 회의는 잘 마쳤고 다음 주 행사도 잘 진행될 것 같다.  마지막 모임도 줌으로 했다. 전국의 청년들과 매주 진행하는 길위의청년학교 연구회가 있었다. 오늘 주제는 요구분석이다. 요구(needs)는 원하는 게 아닌 필요한 것을 뜻한다. 무엇인가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그것을 필요로 하는 상태.  강의하고 청년들과 대화하다가 우리는 모두 자기 자신에게 진실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살까? 이를 .. 2024. 10. 10.
1시간 강연 위해 8시간 운전한 날, 와우^^ 새벽 4시 조금 넘어 파주로 출발. 파주에서 1년에 한번 하는 청소년정책전문가 포럼에서 재단 선생님들 대상으로 1시간여 강연하고 돌아 오니 오후 3시 반. 선생님 두분 상담한 후 결제하고 하루가 갔다. 하루를 길게 살았다.  자기 삶에 참여해야 옳다. 청소년을 포함한 시민은 정책 뿐만 아니라 모든 공간에 수단이 아닌 참여의 주체로 살아야 한다. 자기 결정권은 당연히 당사자가 가져야 한다. 권한 없는 참여는 없다.  그 권한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결정하는지에 대한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오랜만에 좋은 분들 만나서 좋았다. 모두가 자기 공간에 참여하며 자치 하기를. 2024. 10. 9.
흑백요리사의 주인공 떡볶이 이야기 듣는데 눈물이 나오다니.  파이널 라운드 대결 주제는 '이름을 건 요리'였다. 그가 내놓은 요리는 '나머지 떡볶이 디저트'였다. 삶은 떡을 갈아서 얼린 뒤 디저트 형식으로 떡볶이를 재해석한 요리. 참외를 넣은 막걸리를 곁들였다. 마지막 요리를 평가받으면서 한국말이 서툰 그는 편지를 써서 띄엄띄엄 읽었다.  "나에게 에드워드라는 미국 이름이 있지만 저는 한국 이름도 있다. 나에게 한국 이름은 균이다. 그래서 이 요리는 이균이 만들었다."..."항상 한국에서 음식을 너무 많이 줘서 배불러 다 못 먹었다. 떡볶이 시키면 항상 떡이 2개, 3개 남는다. 아깝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풍족함과 사랑, 다른 사람을 위한 배려, 이것이 바로 한국음식이라고 생각했다."  그가 만든 요리의 배경이었다.. 2024.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