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64

직업이 아닌 진로의 성찰 과정 자유학기제 때문인지 최근 몇 년간 진로활동이라는 용어를 지역사회에서 많이도 들었다. 전국의 많은 학생들이 진로 체험한다면서 커피 내리는 바리스타나 셰프 운운하는 음식 만드는 체험에 동원될 정도로 관련 일들은 유행이다. 학교나 관련 기관들이 진로활동과 직업훈련의 차이를 .. 2017. 6. 23.
청소년운동(2) : 운동과정의 해석 청소년활동, 즉 '청소년운동'을 한다는 것은 뜻(의미, 철학, 가치, 이상)이 있으며, 사람과의 관계가 살아 있다는 것이다. 뜻과 이상의 실천 과정은 구체적이어야 하고 가능하면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청소년활동은 구체적인 '전략'이 있어야 하며 그 과정과 내용은 가급적 분명하면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물론 그 과정의 의미를 해석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운동의 내용을 소통시키는 노력은 현장 청소년활동가의 몫이다. 문제는 뜻과 의미에 대한 해석도 없고, 좋은 일이라고 우기면서 사람들을 자기 사업에 대상화 시켜 버리는 일들이 있다는 것. 심지어 어떤 이들은 사회비난에 몰입하면서 타자를 적으로 간주하고 대상을 타파하는 과정 자체를 자기 운동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나는 여기에 .. 2017. 3. 4.
청소년운동 (1): 청소년참여를 중심으로 한 지역 청소년운동 청소년참여를 중심으로 한 지역 청소년운동 - 달그락달그락 활동을 중심으로 - 정 건 희 청소년자치연구소 소장 1. 지역사회와 청소년운동 지역사회는 내가 삶을 살아 내는 곳으로 ‘생활공동체’로서의 공간이다.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공동체의 시민으로서 대우를 받고 있는가? 청소년.. 2016. 12. 18.
청소년의 나이 청소년의 나이를 묻는 분들이 계셔서 간략히 정리해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영·유아기를 지나 초등학생이 되면 ‘아동’으로, 중·고생은 ‘청소년’, 그리고 대학생 이후 는 '청년' 또는 ‘성인’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반론이 정확할까요? 법은 모두 다릅니다. 아동복지법.. 2016. 8. 25.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생각하기 "학교의 주인은 누굴까요?", "선생님요", "학생요!" 갑자기 옆에서 "구라치네! 교장요!!" 란다. 어제 청소년참여예산제 강의 하면서 이야기 나누었던 청소년의회 의원들이 던진 말들이다. 이 친구 말데로 학교 주인이 학생이라는 말은 언감생심(焉敢生心)이다. 대학은 더 심해 보인다. 엄청.. 2016. 8. 5.
사람을 만난다는 기적들 작년 한 청소년이 이강휴 내과를 찾았다. 가슴이 답답하고 천식 때문에 진료 받으러 방문했다고. 이원장님(청소년자치연구소 청소년위원장)이 청소년을 진료해 보니 병이 아닌 마음이 힘든 것 같다며 청소년자치연구소로 안내했다. 청소년이 미나선생님 만나서 대화해 보니 학교 힘겨움.. 2016. 7. 13.
간사님 점심시간 교회 식당에서 '설거지' 하고 있는데 누가 얼굴 빼꼼히 내밀며 '간사님' 하며 부른다. 정말 오랜만에 들어 본다. '간사' 태호다. 이전에 활동했던 단체에서 나름의 자기 생각 가지고 음악하며 리더십 있었던 좋은 아이였는데. 출석하는 교회 건너편에 교회에 다녔다며 오늘 서울에.. 2016. 4. 19.
달그락 그리고 또 달그락; 2015년 활동보고 1. 함께 희망하기 2015년 4월 지역에 청소년자치연구소와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을 열었습니다. 청소년자치연구소는 이미 수년전부터 저의 무허가 개인 연구소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었지요. 들꽃청소년세상 법인과 함께 하게 되면서 실무를 담당할 활동가들이 모였습니다. 지.. 2016.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