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청소년활동글쓰기네트워크_청글넷66 청소년활동글쓰기네트워크_청글넷 ‘청글넷’을 시작합니다. 청소년 현장에 계신 분들 중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청글넷’은 ‘청소년활동글쓰기네트워크’의 약자입니다. 청소년활동 현장에 계신 청소년지도자, 활동가 분들의 글을 쓰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네트워크 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청소년활동 현장의 글을 쓴다는 것? 글을 쓰는 과정에 삶에서 오는 자기 성찰이 자연스럽습니다. 일기뿐만 아니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블로그에 쓰는 글 또한 자기 성찰의 도구로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활동 현장의 글은 우리가 청소년들과 삶을 나누고 함께 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안내하며 사회적 인식을 청소년의 관점에서 변화 시킬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라고 확신합니다. 현장에서 청소년을 만나면서 이루어지는 감동하고 감사하면서도 가끔은 힘겨.. 2021. 12. 7. 청소년활동 현장의 글을 쓰는 이유 청소년활동 현장의 글을 쓰고자 하는 분들과 모임을 가졌다. 지난 청소년활동 글쓰기 세미나 이후 강사로 참여한 분들과 의기투합하여 내년도 활동 현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 선생님들이 공저한 책을 출판하자고 했다. 세미나에 참여한 분들 중 십여 분이하기로 했고 계획서를 받아서 오늘 첫모임을 했다. 윤관장님과 백 선생님 이야기 나누면서 이번 1기를 시작으로 앞으로 계속 청소년활동 현장의 글을 출판을 하면 좋겠다는 이야기도 나누었다. 2, 3기, 10기까지 계속 가면 좋겠다는 희망. 그리고 공저자로 참여한 분들이 각자의 이름으로 개인 책을 출판하는 희망도 갖게 된다. 글을 쓴다는 것? 일단은 개인 삶의 성찰이 자연스럽다. 일기뿐만 아니라 페이스북에 끄적거리는 글까지도 자기 성찰의 도구로 성장하는 모습을 본다. .. 2021. 11. 29. 청소년활동가의 출판 지원 청소년활동 글쓰기 이유와 방법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2주 전 작은 부흥회(?) 분위기로 마쳤다. 그 순간 가슴이 너무 콩닥 이고 좋았다. 지난 주 강사로 참여한 선생님들이 모여서 회의했다(사진). 참여한 선생님들 중 꾸준히 글을 쓰고 싶은 분들을 지원하기 위해서였다. 세미나 이 후 10여분이 글을 꾸준히 써 보겠다고 신청했다. 논의 결과 일단 개인 책을 출판하는 것까지 지원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결론, 하지만 함께 공동 작업을 하게 되면 참여자 분들 모두의 공동저자 이름으로 출판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세명 이서 참여자 분들을 3~4명씩 지원하고 서너 편의 글을 쓸 수 있도록 안내해서 모아 보면 좋겠다는 의견으로 모아졌다. 다만 책의 주제가 정합성을 띠어야 해서 관련 현장에 주제를 어떻게 설정하.. 2021. 11. 13. 청소년활동 현장의 글쓰기 이유 및 방법 : 용기와 의지 감사하고 감동하고 괜히 울컥했다. 세미나 마치고 나니 그 여운이 깊다. “청소년 활동 현장의 글쓰기 이유와 방법”에 대한 세미나에 돈을 내고 3시간을 집중하면서 함께 공감하며 참여하는 전국의 선생님들을 만났다. 코로나19 이후 줌과 구글미트 등 온라인 도구를 이용해서 회의, 강의, 포럼, 토론회, 세미나, 작고 큰 모임까지 많이도 하고 있다. 그 중 오늘 저녁 세미나는 최근 2년 중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깊은 여운이 있는 시간이었다. 현장 활동가들이 글 쓰는 이유? 나는 “내가 하는 활동이 가치가 있는 것인지, 성과는 무엇인지, 변화 과정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청소년활동의 깊은 관계에서 오는 ‘관찰’이고 ‘성찰’이며 ‘해석’의 과정이다. 또 하나는 활동의 가치와 이상을 사회에 안내하.. 2021. 10. 23. [신청] 청소년활동 현장의 글쓰기 이유와 방법 청소년활동 현장에 청소년 개인과 지역의 변화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선생님들의 멋진 삶이 있습니다. 청소년의 긍정적인 변화와 그들이 살기 좋은 사회가 되도록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는 선생님들. 청소년활동 현장에 녹아 있는 긍정적인 많은 사례가 사회에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청소년활동에 녹아 있는 귀한 가치와 철학, 이야기까지 현장에 녹아 있는 사례를 더 많이 안내할 때 우리 사회가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의 폭이 커진다고 여깁니다. 청소년의 세계에 더욱 많은 고민도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글을 씁니다. 글은 변화를 위한 가장 훌륭한 기재 중에 하나입니다. 현장에서 만난 청소년과 이웃에 대한 이야기, 자기 삶에 대한 고민과 성찰 등을 기록하다 보면 삶이 풍성해집니다. 내적 힘겨운 문제도 해결되는 경험을 많.. 2021. 10. 7. 1001190 project, 8~ 8일 9일 10일 11일 12일 13일 14일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 1001190Project 란? 1001190 project, 0~7 #참여신청: https://forms.gle/29sPdJyYcV1wPrY18 1001190 project ‘1기’에 참여할 분을 모집 합니다. 100일 간 11시부터 90분간 글 쓰는 모임 1기에 참여하고 싶은 분들을 모집 합니다. 모임 방법은 간단합니.. blog.daum.net 2021. 9. 20. 1001190 project, 0~7 #참여신청: https://forms.gle/29sPdJyYcV1wPrY18 1001190 project ‘1기’에 참여할 분을 모집 합니다. 100일 간 11시부터 90분간 글 쓰는 모임 1기에 참여하고 싶은 분들을 모집 합니다. 모임 방법은 간단합니다. 자신이 거주하는 곳에서 밤 11시에 무조건 줌(zoom)을 켭니다. 간단히 인사하고 바로 쓰고 싶은 글을 90분간 책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씁니다. 참고할 책을 보면서 기록을 해도 좋습니다. 누구의 비판도 없습니다. 온전히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씁니다. 그 시간 동안 함께 하는 분들의 얼굴만 줌으로 비추어 주고 글쓰기를 합니다. 음소거 후 얼굴을 보여 주고 90분간 자기 글을 쓰는 것입니다. 100일 동안 주말도 빠지지 않고 참여합니다. 출장이나 개인.. 2021. 8. 26. 활동가의 글쓰기 이유 오래전이다. 전국 규모의 민간단체에 영남지역연합회 워크숍에 강사로 가게 됐다. 권역에 전체 실무 활동가들이 모이는 워크숍이었고 외부 강사로 나와 대안학교 만들어 유명해진 사무총장님과 국제교류 잘하는 모 국장님 등이 참여한 것으로 기억한다. 모두 좋아하는 훌륭한 선배들이었다. 세 분야로 나뉘어 강연이 진행되었고 파트 강의 마친 후 참여한 전체 실무자들이 한데 모여서 분야별 내용 발표하는 과정이 있었다. 모여서 실무진들 발표까지 마치고 박수 치면서 마무리 수순이었다. 사회자가 갑자기 총장님과 국장님 등이 강사비를 선후배 실무진들 야식비로 후원했다고 안내했다. 갑자니 내 얼굴이 빨개졌다. 청소년들과 돌아다니느라 햇볕에 그을렸음에도 얼굴이 빨개져 거의 터질 지경으로 무안했다. 나는 강사비를 후원할 수 없었다. .. 2021. 6. 3.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