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밖청소년7 2024 대운동회 학교 안/밖, 우리 모두가 청소년에게 해야 할 일 하나 '존중' 논두렁 하굣길>의 마지막 장면에서 갑자기 평온해 지는 나를 봤다. 그 순간 다른 공간에 있는 느낌이었다. 이 작품은 청소년기 대안학교에서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작가는 “넓은 논밭 너머로 노을이 지는 광경을 보는 것은 주인공에게 정말 황홀한 경험이었습니다. 비록 일상이 따분하고 지루해도 노을은 매일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렇게나 아름다운 노을은 이곳에서만 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눈에 가득 담고 싶어 했어요. 김푸른 작가 자신의 이야기와 같다. “친구든 가족이든,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캐릭터든, 살면서 한두 번 얼굴이나 볼 수 있을까 싶은 아이돌이라도 인생에 활력을 줄 수만 있다면 뭐든 좋아하는 게 남는 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래현 작가의 말이다. 어떠한 연유인지 모르지만, 학교에서 죽.. 2025. 1. 6. 꿈드림청소년단 정책제안 강의와 한주의 삶. 오늘을 살기. 학교밖 청소년들에게, 학교 안에 있는 청소년들이 어떤 것 같냐고 물었다. “답답할 것 같고, 힘들어하는 것 같다”라고 했다. “학교 안에 있는 친구들을 위해서 우리가 무언가 정책적인 변화를 꾀해 보면 어떨까?” 라로 질문했다. 학교 안이나 밖이나 우리 모든 청소년이 잘 살 수 있는 사회로의 정책제언을 학교 밖 청소년인 당신들이 고려해 보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오후에 잠시 이웃 동네(?) 다녀왔다. 이웃 도에 시군구 전체 학교 밖 청소년센터 대표 청소년들 연수가 있었다. 꿈드림청소년단이다. 최근 강의로 만난 분들 중에 오늘 만난 청소년들의 몰입도는 단연 최고였다. 담당 선생님이 걱정하면서 여러 이야기 해 주었는데 반전이었다. 짧은 몇 시간이었지만 이 친구들과 깊은 교감이 나를 들뜨게 했다. 학교 밖 청.. 2024. 6. 14. 학교밖 청소년과 마스크 지난 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공적 마스크 구입 절차 및 구매 한도를 발표하면서 미성년자가 마스크를 구입할 때 본인이 직접 여권을 지참하거나 학생증과 함께 주민등록등본을 제시하도록 안내했다. 운영하는 페이스북 그룹에 “학교 밖 청소년은 공적 마스크를 구입할 방법이 없는 것 아니냐”는 글이 올라왔다. 학교를 다니지 않는데 학생증이 있을 턱이 없다. 국가에서는 주민등록증과 같이 청소년증을 발급해 주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증이 있으면 공적마스크를 구입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했다. 그룹의 회원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대한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에 바로 질의했고 온라인으로 협의해 보겠다는 의견도 들었다. 중앙 부처에서 지자체에 협의하면서 내려오는 시간도 있고 해서 이 문제를 지자체의 관계자들에게 바로 안내하자는 공지.. 2020. 3. 8. 학교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철학 없는 정책 극장에서 할인을 학생증과 교복으로만 증빙한다는 것에 대해 강병웅 선생님이 문제제기를 했습니다. 초기 극장은 이 문제제기를 받아 들이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생각처럼 반영이 잘 되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다시 온라인에 알리고 아고라 청원도 신청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 2018. 1. 1. 우리 모두가 가해자인 학교폭력 최근 부산경찰서는 또래 여중생을 잔인하게 폭행한 혐의로 구속 수사한 여중생 두 명을 검찰에 기소의견으로 송치했다. 지난 달 전주에 중학생은 학교폭력 피해를 호소하다가 자신이 사는 아파트 옥상에서 스스로 몸을 던져 숨졌다. 천안에서도 경찰이 또래 여학생을 폭행한 혐의로 10대 .. 2017. 9. 23. 학교 밖 청소년만 문제 있다고 우기는 사람들 [출처. jtbc 차이나는 클라스 방송 홈페이지] 고등학교까지 학교 교사에게 많이 맞았다며 ‘교육이 모두 이럴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미국으로 건너가 공부한 후 많은 것을 깨달았다며, 현재에는 스텐포드대학교 교육대학원 부학장으로 일하는 폴김 교수가 방송에서 ‘질문의 중요성’.. 2017. 8. 13. 학교밖 청소년에 대한 미안함 학교에 적응을 잘 하면 좋은 학생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학교 적응 관련 논문들을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보아 왔다. 학교적응 잘 하는 청소년이 공부 잘 하고 좋은 대학가고 좋은 직장에 갈 수 있는 확률이 높다는 것이라고 증명하는 과정이 대부분이다. 학교적응에 실패하고 학교를.. 2015. 10.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