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활동/청소년자치공간_달그락달그락

성과와 실적의 차이

by 달그락달그락 2021. 6. 12.

성과와 실적의 차이?

 

무료 급식하는 곳이 지역마다 있다. 독거어르신들과 홈리스 분들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들이 무료급식소에 봉사 활동하러 갔다. 5시간 봉사시간도 채워준다고 했다.

 

실적?

 

담당 교사는 봉사시간에 맞추어 급식소에 갔고 급식소에 실무자와 자원봉사자 만나서 청소년들에게 간단히 해야 할 일들 안내했다. 주방에 청소와 급식 하는데 보조로 봉사활동 했다.

 

시간이 되자 활동 마쳤고 청소년들에게는 수고했다는 말과 함께 시스템을 통해서 봉사시간이 부여됐다. 50명의 청소년이 교사와 함께 참여했고 300명분의 급식을 지원했다. 평가에서 만족도에 안전이나 봉사정신을 배웠다는 몇 가지 문항을 표시 했다.

 

여기에서 실적은 숫자로 바로 계산된다. 50명, 3시간, 300명 급식이다. 성과는 있나? 보이지 않는다. 앞의 숫자는 철저히 실적이다.

 

특히 청소년자원봉사의 봉사학습에 대한 가치와 진행되는 활동의 특수성은 전혀 투영되지 않았다. 학교에서 강제적으로 시간을 배정하지 않았으면 이런 수준도 참여 안한다는 반론도 있지만 역설적으로 봉사라는 것은 시간 날 때 채워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성과는 무엇인가? ‘변화’다. 조금 자세히 설명하면 본질적 변화라고 표현하고 싶다. 변화의 과정을 기록하여 안내하는 일이 성과다.

 

성과 즉 변화를 기록하지 않으면 그 일을 하는 사람들, 당사자들이 그저 프로그램 진행자 이상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 가장 큰 문제는 그 활동의 가치와 의미도 이해하지 못한 채 모든 것이 숫자 몇 개에 파묻히는 형식적 일이 되고 만다. 이 바닥(?)에 그런 일들이 너무 많다.

 

실적이 지배할 때 그 일을 전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의 회의감도 크다. 내가 행하는 일이 성과가 아닌 그저 몇 가지 숫자로 치환되는 일만을 평생하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괴로운 일일까? 그저 한 달 지나면 월급 받는 액수가 내 일의 의미가 된다는 것과 뭐가 다른가? 사람을 만나는 직업, 이 바닥에 전문직 들은 성과에 집중해야 옳다. 교사, 상담사, 청소년지도사, 복지사 등 누구나가 그렇다.

 

위에 사례에서 성과는 급식량이 늘어나거나 봉사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어르신이나 홈리스 분들이 이곳에 오지 않고 실제적인 ‘빈곤’이 감소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성과’를 내는 일이다. 빈곤이 어떻게 감소했고 그 과정에 무료 급식부터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얻는 변화를 기록하고 안내하는 일이다.

 

청소년관점에서는 조금 다른 관점도 살펴야 한다. 어르신의 빈곤에 대한 관점을 보면서도 청소년의 관점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어야 하고 어떻게 안내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생 나름의 '기획'이 선행되어야 한다.

 

방법을 정리해 봤다.

 

일단 청소년들과 함께 봉사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교육이 있어야 한다. 봉사활동의 특성이라고 하는 이타성, 공동체성, 특히 사회참여 시민성에 대해서 적절하게 교육하면서 이번에 진행되는 현장의 이야기를 하고, 가능하면 그들이 참여하는 봉사활동을 기획하도록 돕는다.

 

이 때 미리 짜인 판에 얹혀서 지시하는 것보다 어느 정도의 융통성을 가지고 그들이 선택하도록 돕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고 어르신들 급식하면서 청소년들은 반드시 어려운 분들 만나면서 또 다른 '감정'을 만난다. 봉사활동 가운데 만나는 좋은 이웃과 어르신들에 대해서 배우는 점도 많고, 또한 급식 받는 어르신들 만나면서 자신의 할아버지, 할머니와 같은 마음도 들면서 동정과 공감이 동시에 일어난다.

 

이때를 잘 알아봐 주고 이 분들이 왜 이런 코로나19 시대에도 나와서 급식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이야기 하는 시간도 만들어 보면 좋다. 안전이 문제이니 집에서 식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활동을 마치고 평가하면서 만족도 평가를 넘어서 어르신들을 만나면서 감정이 어땠는지, 이 분들이 이런 날에 급식을 받는 게 좋은 것인지 대화 해 보면서 노인 빈곤에 대해서까지 이야기 나누어 보면 좋다.

 

이 후 지역의 급식 지원 정책도 알아보고, 예산과 우리 사회 복지 시스템도 간략히 살필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 가운데 실제 문제도 발견하고 작게라도 토론하면서 대안을 마련하고 정책을 건의하는 활동이 자연스럽다.

 

그 가운데 ‘성과’는 자연스럽다.

 

어르신들 만나서면 청소년들이 인식한 그동안의 노인들에 대한 상이 변할 것이고, 그 과정에서 사회 문제와 복지정책에 대한 고민이 있고, 정책 찾아보면서 빈곤율과 지원예산을 살펴보면서 나름의 대안 마련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만들다 보면 그 모든 과정에 실질적 변화가 있기 마련이다.

 

이후 봉사가 한두 번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어른신들 급식 봉사 하면서 이 분들에게 스마트폰에 안전이나 긴급한 상황 관련된 어플 깔아 드리고 안내하는 활동도 연 이어서 가능하다. 예를 들면 그렇다는 거다.

 

3시간 법 퍼드리고 설거지 하는 일로서 시간으로 치환되는 게 아닌 그 과정에 있었던 다양한 활동과 일들이 글과 사진 영상 등으로 기록하는 일들이 무엇보다 중요해 보인다. 실적이 문제라는 말이 아니다. 숫자 몇 개로 나타나는 '실적이 모두'가 되어 가는 활동이 문제라는 말이다.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말 다양한 변화의 찾아가는 의미와 가치를 표현하고 나타내야 할 일이다.

 

 

#

 

 

오전에 전화 몇 통화 주고받고 사무실 나오면서 정책협의회와 갑자기 만들어진 연구회의, 그리고 샘들과 잠시 대화 하고 길청 연구회 하고 몇 글자 끄적이니 11시다. 엄청 바쁜 것 같았는데, 눈알과 목구멍만 아프다. 오늘 진행한 정책협의회의도 타 지역 선생님들이 대부분이었고, 길청 멤버들은 전국에서 참여하고 있다. 나는 한 자리에서 모니터만 엄청 노려봤다.

 

성과에 대한 이야기를 오후에도 했고, 저녁에도 했다. 많은 논의, 토론과 일감 안에서 '성과' 즉 '변화'에 대한 표현과 공유가 중요한 날이었다. 특히 일을 하는 것 그 자체의 가치와 의미를 찾는 일은 결국 성과에 있다고 보인다.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이다.

 

여기에 몇 글자 끄적인다는게 이렇게 길어졌다. 어설픈 글이라도 남겨야 하루가 가는 것 같다.

아무튼 하루가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