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활동/청소년자치공간_달그락달그락

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이유 및 핵심 가치

by 달그락달그락 2013. 2. 20.




지역의 청소년활동 진흥센터 분들과 깊은 이야기 나누고 있습니다.

핵심은 세가지로 추려집니다.

대상이 지역 및 청소년활동가, 방법은 네트워크, 조직의 기본 목표는 플랫폼입니다.

집중해야 합니다.


한해 지역 청소년활동 조직부터 다양한 일들이 함께 이루어 집니다.

청소년운동은 뜻에 따라 사람들이 함께 하며 움직이는 과정입니다.


관련 자료를 첨부합니다.

현재 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전체적인 고민점과 제안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파일 다운받으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30219 온라인용-청소년활동진흥센터 사업방향 회의 기초자료-정건희.pdf



1. 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핵심 키워드(원칙세가지

 

(1) 대상지역 및 청소년활동가(시설단체)

(2) 방법네트워크(협업연대)소통과 관계

(3) 목표조직의 플랫폼화

 

 

2. 현재 위치에서 답해야할 질문들

 

1) 네트워크(허브및 지도자 역량강화

(1) 연계 및 협력은 센터의 핵심 사업인가?

(2) 프로그램 운영이 아닌 허브 역할은 사업의 비중에서 어느 정도인가?

(3) 청소년활동진흥센터의 실질적인 네트워크는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4) 센터와 다양한 기관시설이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유기적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5) 사업이 아닌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계 기관시설의 지원을 통한 간접서비스는 무엇인가?

(6) 도내 청소년정책을 위한 네트워크의 역할을 진행했는가?

(7) 기관의 연대를 통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있는가?

(8) 청소년활동가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특별히 우리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조직은 남는가사람은 남는가?

 

2) 지역정책

(1) 그 동안 센터에서 제안한 지역 청소년정책은 무엇이 있는가청소년활동 관련 정책 노력은 있었는가?

(2) 현재 가장 중요한 국가의 청소년정책 및 사업은 무엇이 있는가이 사업이 센터를 통해 지역에 알려지는가?

(3) 그 동안 센터에서 진행된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정책은 있는가?

(4) 도내에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청소년정책은 무엇인가또한 관련정책과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 등의 교류와 제공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지역 프로그램

(1)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관계를 통한 사업들은 무엇인가?

(2) 센터의 공공적 서비스는 무엇을 뜻하는가?

(3) 전북지역 센터의 특성화된 청소년봉사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4) 지역의 특색이 있는 청소년활동 사업은?

(5) 나열한 다양한 사업에서 우리가 특징적으로 잘하는 사업은 무엇인가? 2. 특성화사업에서 우리지역과 관계된 특성은 무엇이 반영되었는가특별히 타 지역과 다른 것은 무엇이며 사례는 있는가?

 

4) 연구(조사및 평가기준

(1) 청소년활동의 정의와 역량은 어떻게 체계화 했는가기준은 무엇인가?

(2) 지역 청소년들의 실질적인 참여(청소년활동/프로그램사회)는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3) 조사(연구)에 기반한 정책과 사업기획의 지속성은 담보하고 있는가?

(4) 평가 및 개선사항을 어디에 집중할 것인가?

 

5) 홍보 및 기타

(1) 현재 지역정치와 관으로부터의 독자성(독립)은 가지고 있는가?

(2) 학교와 함께 관련된 곳에서의 홍보는 부족한 상황이다대안은 있는가?

 

그리고...

130219 온라인용-청소년활동진흥센터 사업방향 회의 기초자료-정건희.pdf
0.27MB

'현장활동 > 청소년자치공간_달그락달그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역량개발-창의적체험활동을 중심으로  (0) 2013.03.13
조직의 코디네이션  (0) 2013.03.01
엄숙한 포장지  (0) 2012.12.23
좋은 일  (0) 2012.11.17
비우고 단순해지기  (0) 2012.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