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활동/청소년자치공간_달그락달그락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청소년자치활동’을 하는 이유다.

by 달그락달그락 2023. 6. 11.

01

 

토요일 아침, 큰아이가 달그락 간다고 했다. 오전에 정읍 달그락에서 주관하는 인도네시아 청소년들과의 국제교류도 참여하기로 했다. 오후에는 기자단 활동하고 늦은 오후부터 저녁까지는 소풍 비슷한 활동이 이어진다. 이번 해 당선된 자치 기구 대표자 회의에서 공약으로 소풍이 있었고 오늘 추진하는 것으로 안다.

 

중학생 아이는 토요일은 거의 달그락에서 또래 청소년들과 활동하면서 보낸다. 일요일 오전에는 교회 다녀오고 오후에는 자유시간으로 기타도 치고 공부도 한다. 평일에도 학교 다녀오면 책만 본다. 요즘 빠져 있는 루시 때문인지 중간에 기타도 친다. 기타는 유튜브와 책 보고 배웠다.

 

어떤 분이 아이 학원 안 보내느냐고 묻는다. 아이가 안 간다고 했다. 원하면 어쩔 수 없이 보냈을지도 모른다만 그렇지 않았다. 혼자서 공부한다. 나는 학원 가는 것을 부정적으로 반응해 왔다. 학원이 나쁘다는 게 아니다. 실제 학습에 도움이 되는 때도 있지만 상당히 많은 학생이 선행학습 형태로 이루어지는 학습에 오히려 주도적인 공부에 방해받는 경우가 많아서다. 사교육이 너무 심해서 청소년의 진로와 삶에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다.

 

청소년들이 숨 쉴 공간을 허락하지 않는 우리 사회 구조를 생각하면 분노를 넘어 가끔은 허탈하기까지 하다. 오래전 주 5일제 되면서 얼마나 좋았는지 모른다. 최소한 토요일은 청소년들이 입시교육에서 해방되어 여가와 진로, 사회참여 활동 등 그들의 자유로운 활동이 이루어질 것으로 알았다. 보충수업 자율화, 야간자율학습이라고 했던 강제 학습의 자율화를 위해서 싸웠다. 학원 또한 12시 넘어서까지 수업하는 것이 학생들의 건강권 침해라고 주장하면서 여러 교육단체와 연대해서 법 만들기 위해서 참여한 일도 있었다.

 

이젠 야자도 보충도 자율이고 주5일 된 지도 오래다. 고교에서 야자 하는 학생들이 많지 않고, 토요일도 대부분 쉬게 되어 있다. 그런데 꿈꾸었던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입시는 더욱 강화되었고 입시학원이 학교의 야자와 보충의 빈 공백을 모두 메워 버렸다. 그렇게 뜻있는 사람들이 청소년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치열하게 싸워 왔던 결과가 결국은 사교육만 성장시켜 사교육비만 키워 버린 꼴은 아닌지 자괴감이 들었다.

 

깨닫는 게 많았다.

 

역사 가운데에 어떤 제도나 정책을 바꾸어서 변화된 일도 있지만,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바꾸어 내지 않으면 근본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근본의 변화를 이루는 일이 무엇일까?

 

모두 알겠지만, 정치 지형을 바꾸고 획기적인 정책과 법을 만드는 과정은 꼭 필요해 보인다. 과정에 참여하고 지역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 다만 여기에서 더욱더 집중해야 할 일이 있다. 그것은 환경이나 법, 제도, 사회적 통념 등이 그러한 경쟁과 청소년에게 억압과 힘겨움을 주는 환경에서라도 청소년의 삶이 긍정적으로 되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그들이 인권이 보장되도록, 그들이 그들 삶과 속한 공간에 참여하도록 함께 하는 일이다.

 

제도가 바뀌어서 행하는 일이 아니다. 지금, 이 순간에 환경이 어떨지라도 그 이상이 맞는다면 실행하면 된다.

 

지금 환경을 탓할 게 아니라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삶에 옳은 일을 선택해서 진행하는 일을 할 뿐이다. 사교육이 더욱더 강화되고 입시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에서도 시험 잘 보는 능력뿐만 아니라 그 근본의 삶을 이해하고, 경험하고 체험하면서 삶을 능동적으로 살아 내도록 사회적 가치 실현을 조금이라도 추동할 수 있는 시민으로서의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다. 나는 이러한 활동을 <청소년 자치활동>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최소한 일주일에 하루 정도라도 하면서 숨도 좀 쉬고 또다시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는 에너지도 비축하면서 시민성도 기르면 안 될까?

 

요즘 평균 수명 80살 조금 넘는다고 하는데 그 시간 동안 가장 열정적이고 머리고 번뜩이며 몸 상태가 최고인 상태인 그 10여 년인 10대의 때에 아무것도 못 하게 하고 책상머리 앉혀 놓고 문제집만 풀게 하는 게 정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일 년에 학원비 몇백, 많게는 몇천만 원씩 쓰고도 결국 그들이 목적했던 서울권에 대학 가는 학생들이 한 반에 2, 3명 내외나 될까 말까 한 현실에서 왜 그렇게 하는지 나는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일주에 하루 이틀 그렇게 하면 서울에 일류대라고 하는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느냐 묻는다면 나는 당연히 입학 가능하다고 대답한다. 활동했던 청소년 중 서울에 좋은 대학이라는 곳에 많이도 입학했다. 물론 지방대 간 친구도 많고 소수는 대학을 저항하기도 했다. 대학이 목적이 아니지만 나는 청소년기 이러한 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그들이 원하는 꿈을 실현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대학이 그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면 꼭 입학하기를 원한다.

 

012345678

 

달그락은 오늘도 달그락거렸다.

 

오전에 <길위의청년학교>에서는 정읍 달그락에서 박 소장님과 전문가분들 추진하는 인도네시아 국제교류 활동에 군산의 청소년들 몇 명도 참여했다. 오전에 달베는 열심히 빵을 구웠고, 라온 자원봉사 자치 기구는 함께하는 봉사활동으로 가족 봉사하는 분들과 공부한 후 해안가 주변에 환경정화 활동하러 떠났고, 여름 방학에 있을 환경과 인권 주제로 서울로 떠나는 상상 캠프 추진 회의가 있었다. 기자단 등 각 자치 기구별 활동과 함께 지난주부터 시작된 달그락 프로젝트는 이영춘 박사님의 삶을 길을 따라가는 활동 등이 각각 이어졌다. 이 모든 활동이 청소년 주도로 위원회와 우리의 이웃 등이 함께 더불어 만들어 가고 있었다. 이 모든 활동이 청소년과 우리 이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룬다.

 

그런 또 하루의 토요일이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