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공동체3

매달 기대되는 모임, 청소년위원회 기대되는 모임이 있다. 매달 모이는 사람들인데도 또 보고 싶은 모임. 청소년자치연구소와 달그락달그락에는 여러 위원회가 있다. 그 중 ‘청소년위원회’는 달그락이 시작될 때 가장 먼저 만들어진 위원회다. 이곳에서 길위의청년학교 이사회가 시작되었고, 미디어위원회도 만들어 지는 등 참여 수준 높은 시민들이 지역 청소년을 위해 자기 전문성과 연결된 여러 모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냈다. 위원회 시작 전 김 위원님이 요즘 진행하고 있는 책 모임에 초대한 작가의 단편소설을 요약해서 나누어 주셨다. 그 짧은 대화체 글에 생각이 많아졌다.  남 위원장님 주제로 곧 있을 꿈청지기 일일찻집 티켓 판매, 미얀마 청년들과 하는 짧은 워크숍, 10주년 기념행사에 감사패 수상자 선정, 그리고 매달 보내는 웹 소식지에 편지까지 여러 .. 2024. 9. 22.
상 받았습니다. 와우^^, 길청 임원이사회 중 상품권 뺏는 거 아님? 김 대표님께 상 받았다. 개인 돈으로 상을 마련해 오는 단체(?) 대표라니. 최근 몇 달간 양(?)김 대표님과 지역 청년정책 제안그룹 만들게 되었다. 이름을 선정했는데 내가 제안한 게 단톡방에서 진행된 투표로 당선되었다고. 아무 생각 없었는데 길청 임원이사회 중 선정된 상이라면서 상품권을 내민 것. 어허... 이거 참.. ㅎㅎㅎ 지역에 신생 청년단체가 만들어지고 있다. 공동대표와 임원으로 너무 멋진 분들이 함께하면서 앞으로 이 단체 100년은 살아 움직일 것이라고 믿는다. 점심에 길위의청년학교 임원이사회 함께 했다. 10월 땡스기버데이부터 외국(?) 청년과의 교류지원, 길청 청년들의 워크숍 등 주요한 이야기 나누었다. 최 부이사장님께서는 오늘 임원이사회 참여하고자 연구원에 월차를 .. 2023. 9. 8.
미래대안교육 함께 길을 찾다 : '청소년에게 맞춤형 교육기회를' '교육부'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주관하여 "청소년에게 맞춤형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주제로 대안교육 포럼이 열렸습니다. 청소년자치연구소(사.들꽃청소년세상)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 사례가 주제 발표의 한섹션으로 발표했습니다. 그 원고를 첨부합니다. 210808_(최종수정_제출본_블로그 공개) 청소년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성장 과정_정건희.pdf 0.33MB 저희가 강조하는 지점은 학교, 교실이라는 공간을 확장하여 지역사회 중심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사례와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과연 청소년들에게 교육이란 무엇인지? 그 본질의 가치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고 있는 달그락댤그락의 사례와 함께 미래교육의 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했습니다. 관련해서 원고는 실지 않았지만 포럼 ..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