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영리조직4

사단법인과 협동조합 등 비영리 조직이 살아남는 방법 이 뜨거운 여름날 아침, 달그락에 아산교육청에 과장님, 장학사, 교사와 지역 마을활동가, 주민 자치위원들까지 많은 분들이 방문했다. 청소년자치가 무엇인지, 마을에 시민들이 어떻게 참여하고 있고 청소년들은 어떠한 자치활동을 하면서 사회를 바꾸어 내는지를 알고 싶어 했다. 오전 두 시간을 강의했다. 강의 후 질의응답 중 기억나는 것 몇 가지.  협동조합 하면서 청소년활동 잘해보고자 했는데 국가지원 끊기자, 대부분이 없어지고 새롭게 시작하는 분도 계셨다. 마을 교사라고 하는데 세금으로 지원하는 강사비 없어져도 공동체성을 기반으로 남아서 활동이 이어질 수 있을까? 과연 마을 공동체는 무엇인가? 국가나 지자체 등에서 지원하는 돈이 없을 때도 지난 정부에서 전국에 만들어 운영되었던 마을교육과 마을 공동체, 지역사회.. 2024. 8. 13.
혁신, 그리고 혁신의 이유 '혁신' 기업부터 비영리 기관까지 진부할 정도로 많이 활용되는 단어가 됐다. Innovation 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행동이다. 사전적 정의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어 실질적인 움직임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매우 어려운 일이다. 기업가들이 내세우는 혁신의 가치와 변화, NGO를 포함한 비영리 민간단체의 혁신이 어렵다. 몇 가지 시스템이나 일을 개선하는 일 정도의 수준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겨레 신문에 이병남 대표께서 기고한 글 중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 몇 가지 안내한 키워드가 있다. 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67063.html?fbclid=IwAR0K3gfmkzvzmR4Wv69a44DYOtJfdsE-jT_LfKu78ok.. 2020. 11. 7.
건강한 비영리 조직 활동의 시작과 이유 2년 전 청소년자치연구소를 지역에 다시 시작하고 청소년자치공간 달그락달그락 만들어 가면서 함께 할 분들을 만나면서 조직하기 시작했다. 그 중 청소년(전문)위원회 처음 조직 되었고 심장내과 전문의인 이강휴 원장님이 위원장으로, 부위원장으로 전인수 선생님이 선출되셨다. 청소.. 2017. 7. 15.
함께 하는 우리네 일들 지금도 젊다. 근데 예전 더 젊은(또는 어린?) 나이에 작은 청소년시설의 기관장이 되었다. 내 사무실이 생겼고 그 곳을 '관장실'이라고 했다. 지나가던 중딩 청소년이 나에게 물었다. "선생님 여기 똥꼬 뚫는 곳인가요?" 이전과는 전혀 다른 환경이 만들어 졌는데, 나의 생활 페턴은 유사했.. 2016. 8.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