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그락프로젝트6 달그락 프로젝트 연말 시상식 지난 달그락프로젝트(이하 달프) 6개월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종합 발표 후 전문가들의 심사가 있었다. 이후 달프에 수상한 청소년들을 위한 시상식을 따로 마련했다. 군산의 역사와 문화를 단편소설과 그림책으로 출판한 ‘메이드인군산팀’이 대상으로 청소년자치연구소장과 시장상을 수상했다. 최우수상으로 ‘TEN하’팀이 비밀 청소년 또래 상담을 했고 그 안에서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발표했다. ‘팽수를 지키는 아이들’은 수라갯벌과 팽나무를 찾아서 환경에 대한 캠페인을 했고 관련 책자를 만들어서 안내했고, 고군산군도 팀은 고군산군도를 찾아 사진 촬영과 자료 조사, 외부 청소년이 찾았을 때 가이드까지 했다. 달그락의 위원님들과 지역 전문가분들이 멘토로 참여해 주셨다. 오늘 수상한 팀의 청소년들이 마을 멘토인 위원님들께 감.. 2024. 12. 24. 진심과 관심 그리고 변화의 달그락프로젝트, 좋았고 좋았더라!! 달그락프로젝트(이하 달프) 최종 성과발표회가 있었다. 달프는 4월부터 시작되었고 13팀이 구성되어 5월에 팀별 청소년연구자 발대식을 시작으로 100여 명의 청소년들이 각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되었고 7월까지 달그락마을학교가 열렸다. 달프 참여하는 청소년을 ‘청소년연구자’로 칭하고 프로젝트를 기획하면 연구 주제로 삼고 활동 진행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는 활동이다. 마을학교에서 관련 전문가들이 달프 팀별 멘토로 지원하면서 전문적인 내용을 알 수 있었다. 과정 중에 팀별 프로젝트 연구 및 계획서를 발표했고, 청소년연구자 아카데미가 시행되었다. 7월 내외부터 10월 중순까지 각 팀별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드디어 오늘 그 대장정의 마지막 결과 발표회가 있었다. 고군산군도가 BBC에서 선정한 아시아에서 가장.. 2024. 10. 26. 달그락프로젝트 계획 발표회, 간달프 말고 달프가 열림. 달그락프로젝트(이하 달프)> 계획 발표회가 열렸다. 청소년들이 기획한 16개의 프로젝트가 발표되었고, 마을학교 멘토 선생님들의 응원과 ‘청소년연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아카데미도 함께 진행되었다. 100여 명이 넘는 청소년들은 두 달이 넘는 시간 동안 달그락 마을 학교를 통하여 다양한 전문가들 만나서 공부하였고, 그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변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오늘 발표한 것. 이번 해 환경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가 유독 많았다. 미세플라스틱부터 수라 갯벌까지. 심지어 세계시민팀은 국제개발하는 NGO를 기획했고, 군산을 알리기 위한 ‘메이드인군산팀’은 군산에 대한 그림책을 만들기로 했다. 교통 관련해서 버스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 유기동물 문제 해결, 책 업사이클링,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2024. 7. 20. 2024 달그락 프로젝트 또 다른 '작지만 확실한 변화' 2024년 달그락 프로젝트(이하 달프)가 시작됐다. 청소년들이 제안한 생태환경, 세계시민, 평화, 민주주의, 문화예술, 교통 등 여러 주제를 중심으로 팀별 프로젝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달프 안에 마을학교가 열린다. 지역에 청소년들이 제안한 주제별 관련 전문가분들이 멘토로 참여해 주셔서 관련 강좌를 연다. 기관에 찾아가기도 하고 야외 체험과 여행까지 관련 내용에 맞추어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후 청소년들이 팀별로 모여서 주제를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발표한 후에, 몇 달 동안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그 내용을 정리해서 변화 내용을 정리해서 연구 형태로 만들어 최종 발표까지 이어진다. 팀별 프로젝트는 “작지만 확실한 변화”가 진행되는 과정이다. 달프 최종 발표회 때는 가능하면.. 2024. 5. 18. 청소년위원회 5월 정기회의; 꿈을 현실로 지금 이 순간을 살아 가는 시민들 미얀마 청소년, 청년 대상의 멘토로 위원회 분들이 참여했다. 이번 해부터 Youth S.D_Maker (달그락 국제개발 활동)에 참여하는 미얀마 청소년, 청년들 대상으로 청소년자치연구소 위원회에서 개별 멘토로 지원해 주기로 했다. 오늘 청소년위원 분들과 줌(zoom)으로 처음 만났다. 지난달 오리엔테이션 마치고, ‘미얀마 삶을 위한 아카데미’도 시작되었다. 한국에 길청, 달그락 청소년, 청년들도 연대하면서 사회 문제 고민 나누고 발표도 시작된다. 한국과 미얀마 청소년, 청년들이 연대해서 세팀이 조직되어 사회참여 활동이 진행된다. 오늘 저녁 의사회관에서 달그락 청소년위원회 위원들은 따로 시간을 내어 미얀마 청소년, 청년들과 첫 만남을 가진 것. 미얀마 청소년, 청년들에게 한 분의 좋은 선생님이 연결된 .. 2024. 5. 15. 2022 달그락 프로젝트: 작지만 확실한 변화 “2022 달그락 프로젝트: 작지만 확실한 변화”가 드디어 시작되었다. 3년째 진행한다. 달그락 프로젝트는 ‘자원봉사’와 ‘청소년 자치활동’이 연결되어 시민성 향상에 집중하는 활동이다. 연구소에서 활동하는 청소년위원회에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하고 사업에 대한 논의도 이어갔다. 자원봉사센터에서는 봉사교육과 공간 지원, 자원봉사시간 관리를 중심으로 참여 지원해 주었고, 교육청은 각 학교에 안내해 주었다. 오늘 발대식을 시작으로 자원봉사 교육 후 달그락 마을학교가 열린다. 연구소 청소년위원분들이 마을학교 멘토로 참여한다. 이영춘 프로젝트, 섬 따라 역사 따라, D.I.Y민주주의, 세상을 구하는 한끼, 마을기자, 모두를 위한 사회, 대화가 필요해, 기후위기 구원투수: 신재생 에너지, 마을정원, 드림캐쳐, 청소년건.. 2022. 7.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