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연수5

청소년자치활동의 이해 및 현장 참여방법론: 교사 연수 가슴 따뜻하고 기분 좋은 토요일. 달그락에서 광주에 초중등 선생님들 연수했다. 광주교육청에서 요청한 강의 주제는 이다. 강의와 함께 실제 교실에서도 가능한 실제 참여 방법론 가지고 진행했다. 교육자치, 청소년자치, 학생자치, 교사자치, 학부모 자치까지 ‘자치’라는 단어 하나에 함의된 여러 가치와 철학이 녹아 있다. 담론이 강한 이론가들도 있지만, 오늘 만난 학교 교사들은 자신이 속한 공간에서 실천적인 교육과 활동을 이루어내야 하는 사람들이다. 나도 마찬가지다. 지역사회라는 현장에서 청소년, 청년, 지역에 이웃들과 함께 삶으로서 살아가면서 실천해야 하는 활동가의 위치가 강하다. 교육자치는 “지역의 현장 구성원들이 교육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제도?)”이다. 지역사회 전체가 참여.. 2023. 12. 9.
[2023 상반기 교사 직무연수] 학생·교육자치의 현장과 방향 참여자 모집해요! “나만 안 되는 교육자치, 힘들지 않았나요?, 실패 경험을 나누며 함께 희망을 찾아보아요.” 이 문장 좋았다. 이번 해 여름방학에 달그락의 에서 진행하는 교사 전문연수 문구입니다. 청소년자치연구소(사.들꽃청소년세상)는 교사 특수분야 직무연수 기관이기도 해요. 달그락에 여러 모임이 있는데 그중 교사들이 중심이 된 ‘교육자치연구회’라는 모임이 있습니다. 평교사와 교장, 교감샘이 함께 하는 작은 연구회 모임입니다. 몇 년간 정은균 선생님과 뜻이 있는 선생님 몇분과 달그락의 활동가 선생님 몇 분이 교육자치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직무연수를 만들어 냈습니다. 원래 전북지역 중심으로 여름 방학에 연수를 하다가 이번 해 '전국'으로 문을 열었어요. 교육자치에 관심 있는 교사라면 전국 어디에서든 신청이 가능하다는 것. 제.. 2023. 6. 21.
강의 하며 꼭 남기는 것은? 정책은 어떠한 결정 사항 또는 목적(이상)을 실현하는 원칙이나 방침이다. 정치나 법 모두 정책으로 실행해 나간다. 우리 사회를 정책이 운영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방향을 설정하는 일이 정치겠다. 내가 살아가는 이 공간에 정책은 누가 만드는가? 누군가 만들어 놓은 정책을 잘 공부해서 따라가면 되는가? 왜 변하지 않거나, 현장과 괴리된 정책들이 계속해서 나오나? 청소년 현장의 활동과 사업, 특히 그들이 꿈꾸는 사회로의 방향을 이루어가는데 정책이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아닌가? 도대체 누가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무언가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힘은 참여다. 참여 수준이 높아지면 자치하게 되고 그 자치성의 높이에 따라서 시민의 정책은 자연스럽다. 우리는 우리 삶에 가장 밀접한 정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누가.. 2023. 4. 19.
학생·교육자치의 방향과 현장, 교사 연수가 끝났다. 교사연수 마지막 날이다. 연수 마치고 ‘교육자치연구회’ 회원이신 강사 선생님들과 사진 촬영했다. 파이팅 한다며 주먹 불끈 쥐었다가 요즘 그렇게 안 하는 거라면서 얼굴 하트를 그리고 말았다. 어색했는데 훨씬 좋았다. 3일간 연구소에서 활동하는 교육자치연구회에서 주관한 “청소년자치, 교육자치”를 주제로 한 교사 연수를 마쳤다. 민간기관에 교사 모임이 만들어지고, 그 안에서 자발적 학습과 활동이 일어난 좋은 사례다. 연구회 회장이며 국어 교사인 정은균 선생님은 달그락 초기부터 사회참여위원회 참여했다. 위원회 활동 과정에서 위원회가 법조인과 교사로 분리되며 교사들만 따로 모여 교육자치연구회를 조직해서 운영했다. 연구회에서 매달 모여서 책 읽은 거 공부하고 사례 나누었다. 2년여 동안 진행 중 교사 연수 준비했고.. 2022. 8. 13.
청소년자치활동의 관점 및 사례: 달그락 교사 연수 중 교실에 30여 명의 학생 중 교사와 같은 수준의 삶을 사는 학생은 몇 명이나 될까? 그 이상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경제뿐만 아니라 여가와 문화까지 포함한 삶의 수준일 때를 말한다. 우리가 신문에서 보는 대우조선에 하청업체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있고, 구이역에 사고당한 청소년과 김용균 씨와 같은 환경은? 우리 경제의 99%를 이룬다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 대기업 취업자들은?, 공무원, 공사 직원?, 호우에 방에 갇혀 나오지 못하고 죽어야 하는 사람은? 교사가 만나는 학생 가운데 위에 열거한 사람 중 다수가 포함될 것이다. 그들에게 우리가 교육하고 가르쳐야 할 내용은 무엇일까? 지방에 인문계 고교에 한 반에서 서울에 중위권 이상의 대학에는 한두 명 정도는 입학할까? 대다수 청소년이 .. 2022.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