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추계 연합학술제
청소년현장, 이 시대의 방향과 관점
“다시, 청소년운동으로
(Again, Youth Movement)”
1. 취지 및 목적
운동은 어떠한 뜻과 이상에 의해 조직된 단체가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활동 과정을 이루어 가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청소년단체의 운동은 청소년이 참여의 주체로서 시대정신에 입각하여 목적과 이상을 위해 조직의 미션에 집중하는 것을 뜻합니다.
최근 청소년과 관련된 기관단체시설의 '운동성'이 상당히 상실되어 가고 있다는 게 중론입니다. 경제 중심적 사회로 변화하고, 청소년시설 위수탁의 집중 및 학교의 보완적인 프로그램 등으로 치부 되는 등 청소년 기관단체에서 진행하는 청소년활동의 운동성은 상당히 약화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청소년 기관들의 운동성 약화는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참여와 활동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실질적인 청소년들의 참여는 청소년운동의 시작이고 그 과정 자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청소년참여(권)는 청소년인권, 청소년문화, 청소년보호복지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매우 중요한 가치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금번 군산시에서 열리는 연합학술제는 ‘다시 청소년운동으로’를 기치로 하여 청소년 참여관점에서 청소년 운동의 역사를 살펴보고, 청소년 운동관점에서 다양한 청소년 현장을 조망하며, 현재 청소년운동의 현황, 이슈를 살펴보며, 앞으로의 청소년운동 방향을 모색해볼 예정입니다.
발표 내용은 이론과 현장의 실질적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현장 실무자, 활동가 들을 위해 기획되었으며 이전의 학술제에서 연구된 내용을 발표하기 보다는 조금 더 쉽게 대중적인 글로 서술된 내용을 중심으로 발표가 이루어집니다. 기존의 학술제 틀을 깻으며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청소년관련 현장이 처한 시대적 상황에서 어떠한 관점으로 청소년운동을 펼쳐야 하는지에 대해 조망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학술제 원고와 토론 내용을 묶어 책으로 출판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청소년관련 현장에서 청소년운동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하며 많은 분들의 참여를 바랍니다.
2. 개 요
○ 일 시: 11월26일(토) 오후1시~
○ 장 소: 군산시어린이공연장 (구. KBS방송국 공개홀) 군산시 대학로 330
○ 참가자: 청소년 분야 관련 실천가 및 연구자, 관계자 등
○ 공동주최: (사)들꽃청소년세상, 한국시민청소년학회, 글로벌청소년학회, 한국청소년사업총연합회, 군산시, 전라북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자치연구소
○ 후 원: 매거진군산
○ 문의: 063-465-8871 / jbyar@hamail.net
○ 참가비: 10,000원 (자료집 및 기념품)
입금 계좌: 신협) 131-017-880629, 예금주: 사.들꽃청소년세상 전북지부
○ 참가신청 : 여기 클릭하셔서 신청하세요!
※ 기념품은 선착순으로 참가비 입금하신 100분에 한해 드립니다. 당일 접수 가능합니다. 또한 학술제 마치고 주무시고 가실 분들 중 선착순 열분에게 '게스트하우스'를 무료로 지원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접수하시고 사무국에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군산 근대문화관광지 안내해 드립니다.
3. 진행순서 및 내용
◎ 개회식 ∥ 인사말씀 및 축사
사회: 이강휴 위원장(청소년자치연구소)
김현수 이사장(사. 들꽃청소년세상)
문동신 시장 (군산시)
정회상 위원장 (군산시어린이행복도시추진위원회)
◎ PartⅠ ∥ 청소년인권과 운동의 역사
사회. 이용교 회장 (한국시민청소년학회, 광주대학교)
발표1. 최윤진 교수 (중앙대 청소년학과) “청소년인권과 운동”
발표2. 김 민 교수 (순천향대 청소년교육상담학과) “현대 청소년운동의 역사”
◎ PartⅡ∥청소년운동의 영역별 관점
사회. 천정웅 회장 (글로벌청소년학회, 대구 가톨릭대학교)
발표1. 김현수 이사장((사.들꽃청소년세상) “청소년보호복지에서의 운동”
발표2. 정건희 소장(청소년자치연구소) “청소년참여를 중심으로 한 지역운동”
발표3. 심한기 대표(청소년문화공동체 ‘품’) “청소년문화운동”
발표4. 박 진 인권활동가(다산인권센터) “우리 사회 인권현장에서의 청소년운동 고민”
◎ PartⅢ∥공간과 현장 관점에서의 청소년운동
사회. 전성민 대표이사 (고양시청소년재단)
발표1. 한도희 사무총장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청소년시설에서의 청소년운동”
발표2. 문유진 대표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후기 청소년의 사회운동”
발표3. 홍문기 박사 (청소년자치연구소 연구위원, 전. 독일카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독일에서의 청소년운동”
◎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출처 : 청소년자치연구소
글쓴이 : 달그락 원글보기
메모 :
'현장활동 > 청소년자치공간_달그락달그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달파티 두번째 이야기 (0) | 2017.01.02 |
---|---|
청소년운동 (1): 청소년참여를 중심으로 한 지역 청소년운동 (0) | 2016.12.18 |
감동의 김팔기 (0) | 2016.10.01 |
군산시 청소년자치권 확대를 위한 조례 전국 최조 제정 (0) | 2016.09.05 |
추석 선물을 아직 준비 하지 않으셨다고요? (0) | 2016.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