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3 소년이 온다. 우리가 사람됨을 잃지 않고 산다는 것은 양심을 붙잡는 일이라는 것. 그리고 그 양심에 따라서 조금이라도 움직인다는 것. 15살의 동호가 보고 싶다. 중학교 3학년의 앳된 청소년. 그 사지에서 마지막까지 시민군과 함께한 후 아프게 떠난 아이. “군인들이 압도적으로 강하다는 걸 모르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상한 건, 그들의 힘만큼이나 강렬한 무엇인가가 나를 압도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양심. 그래요, 양심. ...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게 그겁니다.” “세상에서 가장 거대하고 숭고한 심장이, 부서져 피 흘렸던 그 심장이 다시 온전해져 맥박치는 걸 느꼈습니다. 나를 사로잡은 건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선생은 압니까, 자신이 완전하게 깨끗하고 선한 존재가 되었다는 느낌이 얼마나 강렬한 것인지. 양심이라는 눈부시게 깨끗한 보석이 내 이마에 들어와 박힌 것 같은 순간의 광휘를.” 계엄령에 따라 움직이며 시민들을 살육하는 군인들의 앞에 맨.. 2024. 12. 25. 계엄과 탄핵의 중심에 선 청소년 ‘내란수괴 피의자’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됐다. 불법 계엄을 선포한 결과다. 우리나라에서 계엄은 경비계엄과 비상계엄을 합해 16번의 사례가 있다. 6.25 전쟁과 같이 전시 상황을 제외하면 대부분 계엄은 군부 독재 세력의 권력 찬탈이나 유지를 위한 수단이었다. 1948년 11월17일 이승만에 의해서 제주도지역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제주 4.3은 수많은 희생자를 낳았고 계엄령 선포 이후 대규모 학살로 이어진다. 1960년 4월19일 이승만은 전국 비상계엄을 선포한다. 4·19혁명이다. 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와 부정선거에 저항하는 시민들이 늘어나자, 선포된 계엄으로 186명이 사망했고 6천여 명이 부상을 입는다. 1970년 10월18일 박정희는 부산에 비상계엄을 선포한다. 유신독재를 .. 2024. 12. 18. 차강석 당신이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엄을 반대 하고 탄핵을 찬성하는 것입니다. "좌파를 옹호하면 깨시민, 대배우가 되고 우파를 옹호하면 역사를 모르는 머저리가 되는 거냐.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차강석의 말이다.비상계엄 옹호 발언으로 물의를 빚어 해고된 뮤지컬 배우로 탄핵 반대를 위한 태극기(?) 집회에 나가서 "저쪽에 분명히 간첩이 있다고 생각한다" 고 열변을 토했다.저쪽이라하면 탄핵 찬성한 8, 90프로의 국민을 뜻하는 걸까?나는 배우나 가수들이 정치적 소신을 떳떳하게 밝히고 살았으면 좋겠다. 그런 사회 환경이 더 확대되어 누구나 자기 정치소신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평화적으로 토론하면서 관계하는 사회를 꿈꾼다. 연예인도 시민으로서 자신의 정치철학과 소신을 밝히고 선거 운동도 하면 좋겠다. 그러한 정치적 소신과 활동이 밥 먹고 사는 일에 지장 받지 않고, 자기 전문성에 따라.. 2024. 12.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