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여기구2

청소년활동, 청소년동아리, 청소년자치기구 등 모집 방법 서울 청소년 보호시설에서 선생님들이 방문하셨다. 달그락으로 연수를 오신 것. 두 시간여 청소년활동의 이유, 자치활동, 나름의 비전을 강의하면서 선생님들의 속 이야기 듣고 대화했다.  선생님들 질문 속에 가출하거나 거리 청소년들 만나면서 고민도 많았고 나름의 가치를 붙잡고 열심히 활동하고 계셨다. 개인의 비전에 대한 고민,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비영리조직의 지속가능성, 청소년들이 이곳에 모이는 이유와 현장 활동의 즐거움은 무엇인지, 지역사회 어른들의 자발적 활동을 진행하는 조직 운영을 어떻게 하는지 등 다양한 질문이 있었다.  입시 문제 강해지면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센터에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의 어린이 프로그램이 주이고 대부분 시설 이용 수준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런데 이곳은 공공시설도.. 2025. 3. 13.
청소년 참여의 방법: 청소년 정책 제안 “아는 만큼 보인다.” “행동하라, 행동하라. 또 행동하라” 포럼 이후에도 가슴이 계속 뛴다. 참여 청소년들과 선생님들이 ‘해’ 보자는 의지가 커 보인다. 줌으로 얼굴 보면서 무언가 더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와 제안하고 논의하면서 나타나는 그 흥분과 감동은 아는 사람만 안다. 어떨 때는 오프라인의 모임보다도 온라인에서의 활동에 준비가 잘 되었을 때 다수의 청소년들이 더욱 더 참여수준이 높아짐을 안다. 오늘 포럼 마친 후 다 함께 정리한 키워는 두 가지였다. “알아야 하고, 행동해야 한다는 것.” 충북의 청소년들과 선생님들이 모여서 청소년정책 제안을 위한 100인 포럼이 열렸다. 기조강연하면서 전체 활동을 안내 했다. 본 참여 활동 코디네이팅 하면서 함께 하고 있는 선생님들의 성장과 청소년들의 깊은 제안 내..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