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준2

지옥 같은 일만은 피하자 저녁 6시 반경 일정 마치고 시간 강의하는 대학 강의 영상 촬영 시작했다. 영상수업 듣는 학생 한 명이 내 앞에 앉아서 열심히도 듣고 필기했다. 집도 익산인 이 청년은 지난 학기 동영상 강의 듣고 찾아 와서 달그락 자원활동가로 활동 중이다. 한 친구가 앞에 앉아 있으니 강의하는 내내 즐거웠다. 사람은 그런 존재다. 대면하고 만나고 소통하고 관계하면서 감정을 나누는 존재. 토요일 하루 종일 그랬다. 오후에는 순창 교육지원청에 학생참여위원회 임원 학생들 10여명과 장학사님, 담당 선생님 두 분이 방문하셨다. 오 국장님과 민혁, 예빈 두 청년활동가와 나까지 시간을 나누어 청소년들의 자치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 나누었다. "학교의 주인은 누군가요?", "교사, 학생이요?", "교장샘인데요..." 왜 그럴까?.. 2020. 10. 20.
2. 청소년동아리활동 사례 중심의 안내 (2-조직의 기준설정 및 신뢰형성) 2. 조직의 기준설정   조직은 모인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청소년동아리의 모인이유가 춤을 추고, 노래를 하겠다하는 정도에서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벤트 업자들이 행하는 일들과 다른 경우를 찾기가 쉽지 않을 정도입니다. 동아리 활동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회칙도 만들지 않습니다. 어떠한 조직이건 그 조직의 이유와 가치, 기준은 필요합니다. 이러한 내용을 참여하는 청소년들과 협의하여 기록해 놓는 것을 회칙이라고 합니다. 청소년동아리활동의 가치나 목적, 이상 등을 참여하는 청소년들과 논의하는 시간을 깊이 가질수록 좋습니다.  청소년들이 춤을 추더라도 목적에 “춤을 통한 청소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형상화하고, 문화적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산한다.”라고 설정할 경우 춤 연습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청소년들만의.. 2016.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