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2 종교중독 개인의 삶을 통제하는 종교에 극도로 몰두할 때 신앙은 “해로운 신앙”이 된다. 해로운 신앙은 사람을 학대하고 조종하여 중독에 빠지게 한다. 종교 중독은 낮은 자존감, 상처 받은 내면아이, 애착장애, 자기강박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현실도피, 자본주의적 구매욕구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종교 중독의 특성은 첫째, 권위에의 복종으로 인한 삶의 극단적 수동성이다. 둘째, 권력 중독이다. 셋째, 감정의 고양(혹은 열광)을 위한 강박적인 종교행위이다. 넷째, 극단적 폐쇄성과 폭력성이다. 다섯째, 영혼의 학대로서 집단 압력이다. 박성철의 '종교 중독에 대한 신학적 이해'이라는 기독교철학에 실린 논문 중 일부다. 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6564.. 2021. 2. 21. 기생충 - 내 몸에서도 가끔 이 냄새가 나는 것 같아 기생충은 다른 동물의 몸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빼앗아 먹으며 사는 동물이다. 관계 맺는 타자에 붙어살면서 서로 손해를 주는 사람들의 영화. 기생충. 인간관계, 빈부에 따른 계급, 가족, 욕망(경쟁), 세습 등 몇 가지 키워드 보인다. 기생충은 숙주의 영양분을 몰래 빼 먹는다. 숙주는 모.. 2019. 6.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