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홍보2

청소년활동, 청소년동아리, 청소년자치기구 등 모집 방법 서울 청소년 보호시설에서 선생님들이 방문하셨다. 달그락으로 연수를 오신 것. 두 시간여 청소년활동의 이유, 자치활동, 나름의 비전을 강의하면서 선생님들의 속 이야기 듣고 대화했다.  선생님들 질문 속에 가출하거나 거리 청소년들 만나면서 고민도 많았고 나름의 가치를 붙잡고 열심히 활동하고 계셨다. 개인의 비전에 대한 고민,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비영리조직의 지속가능성, 청소년들이 이곳에 모이는 이유와 현장 활동의 즐거움은 무엇인지, 지역사회 어른들의 자발적 활동을 진행하는 조직 운영을 어떻게 하는지 등 다양한 질문이 있었다.  입시 문제 강해지면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센터에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의 어린이 프로그램이 주이고 대부분 시설 이용 수준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그런데 이곳은 공공시설도.. 2025. 3. 13.
청소년 모집 방법, 우아한 백조 되기 청소년시설(?)에 청소년이 없다는 이야기. 요즘에 더 자주 들린다. 갈수록 청소년 모집을 어려워한다. 학령인구 감소로만 해석하기는 어색하다. 입시학원에는 학생이 넘치고, 학생 모집 때문에 중, 고교도 문제 될 일이 없다. 학교밖에 청소년기관 청소년 모집이 어렵다는 이야기는 오래됐다. 홍보교육 대부분도 청소년 모집에 매달린다. 코로나 19 거치면서 현장의 어려움은 더 커지는 것 같다. 수시 줄어들고 정시 커지고 외부 활동이 입시에 반영되는 비율도 거의 없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정부에서 수시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방안이 무엇이냐고? 여러 파편적인 제언 할 수 있겠지만 이 그림처럼 우아한 백조가 되는 것. 우아함을 잃어버리고 보이는 곳에서 최선을 다해서 일하고 있다면서 이벤트, 쇼만 계속해서 집중.. 2022. 3. 30.